'디지털 가전 신화'가 탄생한다. 삼성전자.LG전자.대우전자는 PDP TV 등 디지털TV, DVD, 디지털 백색가전, 홈시어터 등 첨단 제품군을 앞세워 오는 2005년 세계 가전시장 1위 확보를 목표로 본격적인 글로벌 시장 공략에 들어갔다. 이들 가전 3사는 오는 2005년까지 업체별로 시설 및 연구개발(R&D) 투자, 해외 생산거점 확충, 톱 브랜드 육성 등에 2조원 이상의 투자를 한다는 계획이다.
삼성전자(http://www.sec.co.kr)는 올해 총 3천억원을 디지털미디어 분야에 투자, 가전분야 기술개발 및 해외생산기지 확충에 적극 나선다. 디지털TV를 전략상품으로 이 분야에만 향후 4년간 총 5천억원을 쏟아 부어 세계 시장 점유율을 15%대로 끌어 올린다는 전략이다.
또 디지털가전 해외 공장 증설 및 확충에도 박차를 가하기로 하고 올해안으로 중국 상하이 제2부지 및 멕시코 공장 건립을 통해 한국.중국.말레이시아 중심의 기존 5국 6공장 생산체제를 9국 11공장체제로 확대 개편할 계획이다.
이미 지난달 인도네시아에는 CDMA방식의 휴대폰을 처음 시판, 동남아시아 공략도 본격화했다. 삼성은 또 대형프로젝션TV '파브(PAVV)'의 성공사례를 바탕으로 디지털 고급가전의 브랜드 파워 제고에도 총력을 기울인다.
LG전자(http://www.lge.com)는 완전평면 브라운관, LCD 등 디스플레이 분야의 경쟁력을 바탕으로 디지털TV는 물론 디지털 백색가전에서도 2005년까지 세계 1위를 목표로 글로벌 기업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그동안 삼성전자만 선보였던 DVD와 VCR을 모두 재생할 수 있는'콤보'플레이어 시장에도 성공적으로 안착했다는 평을 듣고 있다.
이 회사는 2005년까지 디지털TV 관련 분야에만 약 1조5천억원을 투자해 디지털TV, 디지털 벽걸이(PDP.LCD)TV, 완전평면TV, 완전평면 및 LCD모니터 등을 세계 1위 제품으로 육성한다는 전략이다.
LG는 이를 위해 한국을 중심축으로 북미.남미.유럽.중국.동남아.중앙아시아 등 6대 해외 중핵 거점을 축으로 글로벌 네트워크 체제를 강화하고 권역별 차별화 전략을 전개해 나가기로 했다. 이미 브라질 휴대폰 시장에 'cdma2000 1x' 제품을 선보이고 초기시장 선점에 본격 나섰다.
올해 브라질을 비롯한 중남미 지역으로 바 타입(모델명:'LG-DM160') 및 듀얼 LCD 폴더타입 고급형(모델명: 'LG-TM520') 제품을 중심으로 초기 시장 선점을 가속화 한다는 전략이다. 또 최대시장인 북미지역은 자회사 '제니스(Zenith)'의 브랜드 인지도를 내세워 올해부터 3년간 1억3천만달러를 마케팅에 집중 투입하면서 디지털 벽걸이(PDP) TV 등 분야에서만 30% 점유율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대우전자(http://www.dwe.co.kr)도 42인치 벽걸이TV를 중심으로 영국을 비롯한 유럽지역과 미국.호주.중국 등지를 대상으로 본격적인 수출지역 및 물량확대에 나설 예정이다. 또한 브라운관 방식의 32인치 디지털 HDTV에 이어 올해는 51인치 및 60인치 벽걸이TV를 출시할 계획이다.
이미 2월 27일부터 3월 3일까지 독일 베를린에서 진행된 세계 최대 백색 가전 전시회 '홈텍 2002'에 참가, 세계 최초로 개발한 드럼방식의 무세제 세탁기와 음성으로 제어하는 음성인식 산소에어컨, 라디오 복합 전자레인지 등 첨단 백색가전 제품을 대거 선보여 눈길을 끌었다.
대우전자는 멕시코.프랑스.폴란드.베트남.한국 등을 평면.디지털TV 생산축으로 활용키로 했고 특히 중국의 대표적 가전 유통업체인'북경원양전기공사'와 손잡고 중국 중산층 고객을 겨냥한 본격적인 마케팅을 시작했다.
국내 주요 가전업체의 디지털가전 강화전략은 최근 급속히 불기 시작 한 디지털.인터넷 가전 개발로 이어지면서 고급화 경쟁과 함께 세계적 디지털가전 종주국의 밑그림을 그려가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최창희기자 cch@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