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대통령이 직접 사과해야 한다

김대중(金大中)대통령이 홍걸씨 등 세 아들 문제와 관련 박선숙 대변인을 통해 간접적으로 사과의 뜻을 말했다. 박 대변인은 "김 대통령이 국민에게 죄송하게 생각하고 있으며 침통하게 검찰 조사를 지켜보고 있다"면서 "현 시점에 대통령이 직접 나서는 입장 표명은 적절치 않다"고 시사했다.

우리는 이러한 김 대통령의 '간접사과'가 들끓는 민심을 무마하기에는 미흡하다고 생각한다. 최고 권력자 주변의 불법비리가 연일 터져 나오고 대통령의 세 아들 비리의혹으로 나라 전체가 흔들리고 있는 이때 김대통령이 나서서 국민앞에 단호한 사태 수습 의지를 표명 하는 것이 마땅하다.

검찰에 대해서도 "내 눈치 보지 말고 가차없이 수사해 달라"고 당부, 고뇌에 찬 결단을 내리는게 옳다. 그럼에도 김 대통령이 "아들에 대한 검찰 조사 결과를 지켜보고 있고 결과에 따라 처리될 것"이란 모호한 말로 얼버무린 것은 민심을 몰라도 너무 모른다는 비판을 면키 어렵다고 본다.

청와대측은 검찰 수사에 영향을 미치지 않기 위해 직접 표명을 유보했다고 하지만 현실은 그 반대다. 오히려 "검찰 수사를 지켜보겠다"는 대통령의 말에서 검찰이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게 우리의 시각이다. 김 대통령은 5년전 한보 사태 때 김영삼 전 대통령의 아들 현철씨의 비리 의혹을 앞장서 규탄, 구속 수사를 요구하는 한편으로 "가장 큰 책임은 대통령에게 있다"며 대통령의 입장 표명을 요구한 바 있다.

그런 터수에 김 대통령이 이번에 자신의 세 아들이 그때와 비슷한 비리의혹으로 국민의 눈총을 받고 있는 이 마당에 오히려 침묵으로 일관한다면 이를 납득할 사람이 몇이나 되겠는가.

그런만큼 대통령의 세 아들의 비리 의혹으로 무엇보다 이 나라의 도덕적 기강이 무너진다고 아우성인 이 때야말로 대통령이 직접 나서서 입장 표명을 하고 진심으로 대국민 사과를 해야할 시점임을 우리는 지적한다.

김 대통령은 세 아들 문제를 정치적 입장에서 풀어나가기보다 법 앞에는 만인이 평등하다는 법치주의(法治主義)의 입장에서 접근해야할 것임을 부연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