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동의대 사태 민주화인정 반발 확산

민주화운동 보상심의위원회가 부산 동의대 사태 연루자를 민주화운동 관련자로 결정한 데 대한 반발이 걷잡을 수 없이 커지고 있다.

동의대 사태 당시 숨진 경찰관들의 유족들은 물론 경찰청 차원에서도 보상위원회의 결정문 내용을 검토, 이의 제기를 하기 위한 법률 검토에 들어가 파문이 확산될 전망이다.

경찰청 홈페이지와 민주화보상심의위 홈페이지에는 30일 하루동안에만 4천여건의 항의글이 도배되다시피 게재됐다.

'우울한 시민'이라는 네티즌도 민주화보상심의위 홈페이지에 "5.3 동의대 사태 당시 '학생이 죽으면 열사, 경찰관이 죽으면 개죽음'이라는 말이 있었는데 지금에 와서 가해세력들을 민주투사로 인정한다면 희생자인 경찰관과 가족은 반민주 세력이란 말인가"라며 "대법원 판결까지 난 사건을 법률 전문가도 아닌 몇 사람이 모여 그렇게 무모한 결정을 할 수 있는지 한심스럽다"고 말했다.

ID '이지훈'이란 네티즌은 경찰청 홈페이지에서 "민주화운동, 민주투사라는 말은 아무데나 붙이는 것이 아니다"고 비판했다.

회사원 고모(34.대구시 달서구 월성동)씨는 "앞으로 데모하는 사람들 모두 자신들의 목적을 위해서는 경찰을 죽일수도 있다고 생각할 것"이라며 허탈해했다.

대구경찰청 한 경찰관도 "학내 문제로 발생한 시위 도중 학생에게 끌려간 전경을 구출하는 과정에서 생긴 사건을 민주화운동으로 확대 해석하는 것은 이해가 안된다"며 "당시 시위대가 민주투사라면 이들로 인해 순직한 경찰관들은 도대체 뭐냐"고 반문했다.

이에 대해 모병철 변호사는 "우리나라 민주화 발전에 도움이 됐다면 몰라도 동의대 사태를 민주화 운동으로 인정한 것은 다시 생각해 봐야 할 문제"라고 지적했다

정욱진기자 penchok@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