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월드컵 땐 노동쟁의도 중단하자

노동계가 전세계인들의 이목이 쏠려 있는 월드컵 개막을 전후해 강력한 투쟁을 선언하고 나서 귀추가 주목된다. 월드컵 개최를 한국노총이나 민주노총 등 노조조직의 요구사항 관철 호재로 맞춘 듯해 선뜻 이해하기 힘든다.

노사관계는 의견불일치나 쟁의행위가 불거지고 토의와 협상으로 마찰 요인을 해소하는게 일반적인 관행인 것은 분명하다. 그러다가 회사나 노조에 좋은 일이나 나쁜 일이 발생하면 노사간의 합의에 따라 단체협상도 한동안 뒤로 미루는 지혜도 가끔 발휘하자는게 노동현장의 모습이다.

이런 모습과는 전혀 다른 노동계의 최근 움직임에 대해 지지를 보내지 못한다. 민주노총은 석가탄신일 특사에서 구속노동자 가석방 등 후속조치가 미흡하면 오는 26일 전국노동자대회 개최 등 강력한 투쟁을 예고하고 있다.

한국노총 산하 워커힐·르네상스 호텔 등 관광노조연맹도 근로조건 저하 없는 주(週) 5일제 시행 등 요구조건을 들어 주지 않을 경우 이달 30일 총 파업을 벌일 계획이다. 노조의 강경한 태도는 월드컵을 전략적 투쟁기회로 심는 것이 아닌가 싶다.

국제행사를 볼모로 삼는 듯한 이같은 노조투쟁은 국민들이 선뜻 수긍못할 것이다. 월드컵 개최기간 세계 여러나라에서 60여만명이 우리나라를 방문하는 등 나라 이미지 제고에 좋은 기회다.

국가 발전의 계기가 분명한 월드컵을 특정 조직이익을 위한 호기(好機)로 삼는다면 어떤 명분을 내걸어도 설득력 부족이 아닌가. 월드컵기간 국제노동기구나 국제관광노련 등에 노동자 구속상황 등을 알리는 '외교전'도 전개할 방침이라니 월드컵에 나쁜 영향을 우려한다.

정부나 사용자의 책임이 없다는것은 결코 아니다. 노동계의 사정을 감안하지 않은채 일방적으로 월드컵 무분규 사업장 만들기에 나섰다는 노동계의 지적을 정부는 유념해야 한다. 노사관계는 스스로 합치점을 찾아야 부작용이 없다. 월드컵축제을 성공적으로 치르도록 우리 모두 머리를 맞대자.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