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인적자원부가 내년부터 대안교육을 정규 교육으로 흡수키로 한 것은 정보화시대의 다양성에 대응하고, 공교육이 지닌 한계를 공식적으로 인정하면서 '학교 밖 교육'이 정당한 교육 활동으로 자리매김하게 된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 그러나 과연 어떤 결과를 가져올 지에 대해서는 우려되는 바도 적지 않다.
1990년대부터 민간주도로 확산됐으나 학력을 인정받지 못했던 대안교육은 그동안 공교육에서 밀려난 문제아들을 위한 교육이라는 사회적 인식과 거부감 때문에 제대로 자리잡을 수 없었다.
그러나 학교 교육에 중도 탈락하는 학생이 해마다 6만~7만명에이르고, 학교에 다니지 않는 청소년이 20만명으로 추산돼 그 필요성은 꾸준히 제기돼 왔다. 더구나 근래에는 가정 형편이나 성적,학교 규율보다는 진학.취업.적성.교육 내용 등 현행 공교육의 획일성에 대한 불만이 그 주요 원인이었다는 점에 비춰 긍정적으로 받아들여지기도 한다.
하지만 '학교 교육만이 교육'이라는 도식이 깨지는 마당에 대안학교는 다양한 소질과 적성을 가진 학생들을 위한 진정한 대안 교육의 장이 돼야 하고, 그런 인식의 바탕 위에서 새롭게 도약할 수 있는 길을 열 수 있어야 한다.
그 때문에 넘어야 할 산도 적지 않다. 교육부의정식 인가를 받지 못하고 자체 운영하는 대안교육 프로그램이 전국적으로 수천개에 이르지만, 현재 학력 인정을 받는 공립의 경우는 9개 시.도에 14개 학교(1천298명)에 불과해 그 수요를 충족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하고, 질적인 면에서도 적지 않은 문제점을 안고 있는 형편이다.
대안학교는 획일적이고 통제적인 제도교육에 염증을 느낀 청소년들을 위한 학교이므로 개개인의 독특한 요구와 흥미에 탄력적으로대처할 수 있는 체제와 다양한 형태의 교육을 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춰야 한다.
그래야만 학교 부적응아 문제도 해결되고, 지식정보화사회가 요구하는 창의적인 인재 양성도 가능해 질 수 있다. 차제에 위기가 가속화되고 있는 공교육에 대한 철저한 성찰의 계기도 돼야만 할 것이다.
댓글 많은 뉴스
"탄핵 반대, 대통령을 지키자"…거리 정치 나선 2030세대 눈길
젊은 보수들, 왜 광장으로 나섰나…전문가 분석은?
민주, '尹 40% 지지율' 여론조사 결과에 "고발 추진"
윤 대통령 지지율 40%에 "자유민주주의자의 염원" JK 김동욱 발언
"尹 영장재집행 막자" 與 의원들 새벽부터 관저 앞 집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