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이 6.13 지방선거 참패를 둘러싸고 내홍이 격화되고 있다. 국민 지지를 바탕으로 하는 정당으로서는 선거 패배뒤에는 항상 책임론이 뒤따른다. 더구나 이번처럼 민주당이 390여만 표차로 한나라당에 사상 유례없는 참패를 당한 경우 선거 패배에 대한 책임을 묻고 사후 대책을 논의한다는 것은 지극히 당연한 귀결이라 볼 수 있다.
때문에 민주당이 패전 책임을 묻고 지도부 사퇴, 제3후보 영입 등 당(黨) 쇄신방안을 논의키로 한 것은 지극히 당연한 일로 보인다.
그러나 우리가 걱정하는 것은 민주당의 당(黨) 쇄신 논의가 민심이탈의 원인과 그 해법(解法)을 찾아 사분오열된 당을 회생시키는데 있는 것이 아니라 주류와 비주류측이 각각 연말 대선의 주도권을 잡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것다.
주류는 현 노무현 대통령후보 한화갑 대표체제를 유지할 것을 주장하면서 DJ와의 절연, 김홍일 의원 공직사퇴, 아태재단 사회환원까지 주장한다. 이에 맞서 비주류는 지도력 부재로 참패한데다 노 후보가 영남권에 돌파력이 없다는 것이 이번 선거로 확인된 만큼 노 후보가 용퇴하고 제3후보를 영입, 신당을 창당하자고 맞서고 있는 것이다.
우리는 이처럼 상반된 민주당 주류.비주류의 입장을 보면서 "이들이 아직도 대권 욕심에 사로잡혀 있구나" 싶은 인상을 지울길 없다. 굳이 말하자면 민주당의 참패는 민심을 돌보지 않고 대통령을 비호하기에 바빴던 '들러리 정당'에 대한 경고이자 '부패 무능 정당'에 대한 국민 심판이었던 것이다.
그런 만큼 소속의원들은 민주당 참패가 지도력 부재탓이니 어떠니 하며 마치 남의 탓인양 책임을 돌리기보다 '내 탓…'이란 마음가짐부터 갖는게 필요하다고 본다. 집권을 바라는 정당이 연말 대선을 앞두고 절대적인 지지를 받는 후보를 내세워 전략(戰略)을 짜고 전열을 정비하는 것은 나무랄 일은 아니다.
그러나 국정이 어떻게 돌아가는지 민심은 어떻게 돌아가는지도 염두에 두어야 할 것 아닌가.한나라당도 압승에 교만할 게 아니라 겸허한 마음으로 국정부터 챙길 것을 기대한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경선 일정 완주한 이철우 경북도지사, '국가 지도자급' 존재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