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년 역사상 브라질-독일간 첫 대결로 정상을 가리게 된 2002한일월드컵은 각종 진기록으로 팬들에게 큰 흥미를 준 대회로 기억에 남을 전망이다.결승전을 남겨 놓고 있는 호나우두가 28년만에 '마(魔)의 6골벽'을 돌파하게 된다면 이번 대회는 진기록의 산실로 더욱 깊게 각인될 전망이다.
▲아시아팀 첫 4강 진출=개최국 한국의 4강 진출은 명실공히 '아시아의 쾌거'로 길이 남을 만하다.98년 프랑스대회까지 16차례의 월드컵에서 아시아팀이 이룬 최고의 성적은 북한이 66년 잉글랜드월드컵에서 기록한 8강 진출.
본선 첫 승에 목말랐던 한국은 조별리그 1차전 폴란드전에서 가볍게 이 목표를 달성한 뒤 조 수위로 16강에 올랐다.한국은 이어 16강전에서 이탈리아를 연장 승부 끝 안정환의 골든골로 8강에 올랐고 준준결승에서는 승부차기 끝에 스페인까지 격침, 아시아에서는 맨 처음으로 4강까지 내달렸다.
▲개최국 16강 진출 '전통' 유지=한국이 4강까지 오른 반면 공동개최국 일본은 16강전에서 '투르크 전사' 터키에 아깝게 0대1로 무릎을 꿇어 더 이상의 성적을 내지 못했다.하지만 한국과 일본이 나란히 16강에 오름으로써 제1회 우루과이대회부터 이어져 온 개최국의 16강 진출 '전통'이 이번 대회에서도 지켜졌다.
▲5개 대륙 8강 분포=이번 대회 8강에 오른 팀은 한국을 비롯해 세네갈, 스페인, 브라질, 터키, 미국, 독일, 잉글랜드였다.
특이점은 유럽(UEFA)과 남미(CONMEBOL) 이외에 아시아(AFC·한국), 아프리카(CFA·세네갈), 북중미카리브(CONCACAF·미국) 등 5개 대륙연맹에서 고르게 8강팀을 배출한 것으로 월드컵 72년 역사상 5개 대륙연맹에서 고르게 8강 진출팀이 나온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독일-카메룬전은 '난투극'=조별리그 E조 최종전 독일-카메룬전(6월11일)에서는 옐로카드와 레드카드가 난무, 월드컵 역사상 최대 '난투극'으로 남게 됐다.
이 경기에서 두 팀 통틀어 경고 15회, 퇴장 2명이 기록됐는데 한 경기에서 옐로카드가 16번 꺼내지기는 사상 처음.같은 날 열린 A조 세네갈-우루과이전에서도 두 팀 통틀어 모두 12차례 옐로카드를 받아 독일-카메룬전에 이어 월드컵 역사상 두번째로'어지러운' 경기로 기록됐다.
▲영광의 1호=2002한일월드컵 1호골의 주인공은 프랑스와의 개막전에서 결승골을 터뜨린 세네갈의 파프 부바 디오프. 디오프의 한 방에 디펜딩 챔피언 프랑스는 격침됐고 결국 1무2패(무득점)의 참담한 성적으로 탈락했다.
대회 1호 해트트릭은 독일의 '고공 폭격기' 미로슬라프 클로세가 작성했다. 클로세는 지난 1일 열린 사우디아라비아와의 조별리그1차전에서 8대0으로 완승할 때 3골을 몰아넣었다.
연장-승부차기가 펼쳐지는 결승토너먼트에 접어들면서 첫 90분 무승부는 16일 세네갈-스웨덴전에서 나왔으며 이 경기에서 세네갈 앙리 카마라가 대회 1호 골든골을 터뜨렸다.
▲불명예 1호=크로아티아 수비수 지브코비치는 대회 1호 퇴장선수로 오명을 남겼다. 지브코비치는 G조 1차전 멕시코전(6월3일)에서 페널티지역 안에서 블랑코에 깊은 태클을 감행해 페널티킥을 내주며 레드카드를 받았다.
6월5일 열린 D조 미국-포르투갈전도 불명예 기록이 작성된 경기. 이 경기에서는 포르투갈의 수비수 조르게 코스타와 미국의 수비수 제프 어구스가 자책골을 하나씩 기록했다.코스타의 자책골은 대회 1호 자책골이었고 더욱 불명예스러운 것은 월드컵 역사상 한 경기에서 2개의 자책골이 나오기는 이 경기가 처음이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