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00년 11월 현재 우리나라의 65세이상 고령인구는 337만명으로 총인구의 7.3%에 이르렀다.
통계청은 2000년 11월1일 기준으로 실시한 인구주택총조사에서 10% 표본가구 약 143만가구를 대상으로 여성·아동, 고령자, 1인가구 등에 관한 조사항목을 분석해 4일 발표했다.
▨65세이상 고령인구 비중 급등=65세이상 고령인구는 337만명으로 총인구(4천598만명)의 7.3%로 나타났다.고령인구 비중은 80년 3.9%, 85년 4.3%, 90년 5.2%, 95년 5.9%, 2000년 7.3% 등으로 지속적으로 늘어나는 추세를 보였으며 특히 최근 5년간은 고령화 진행속도가 매우 빨라졌다.
직전 5년간 총인구 증가율이 3.2%에 머문데 비해 고령인구증가율은 훨씬 높은 27.7%에 달했다.
통계청 권오술 인구조사과장은 "이같은 추세를 감안하면 2020년께 65세이상 고령인구의 비중이 15%를 돌파, 우리 사회가 '고령화사회'를 지나 '고령사회'로 접어들 것"이라고 전망했다.
▨여성가구주 265만=우리나라 총가구(일반가구) 1천431만가구중 가구주가 여성인 가구는 265만가구로 18.5%를 차지했다.여성 가구주를 혼인상태별로 보면 '사별'이 50.5%, '미혼'이 21.4%, '유배우자' 16.1%, '이혼' 11.6% 등으로 나타났다.
한편 2000년 11월1일 현재 여성인구는 2천291만명으로 95년에 비해 3.2% 증가했으며 총인구에 대한 비중은 49.8%로 남자보다 낮았다. 이에 따라 여자 100명당 남자수를 나타내는 성비는 100.7을 기록, 95년과 같았다.
그러나 직전 5년전에 비해 14세이하 여아인구는 6.6% 감소한 반면 65세이상 여성은 25.2% 증가해 아동에서 성비불균형 현상은 심해졌다.여성의 경제활동과 관련해선 15세이상 여성인구중 37.7%(691만명)가 일을 하고 있으며 연령별로 보면 20대는 46.6%, 30대는 42.2%,40대는 48.8% 등으로 나타났다.
▨1인가구 비중=우리나라 총가구중 15.5%에 해당하는 222만가구가 1인가구로 파악됐다. 이는 95년에 비해 가구수로는 35.4%가 급증한 것이며 총가구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2.8%포인트나 상승한 것이다.
1인가구주를 성별로 보면 여자가 57.5%, 남자가 42.5%로 여자가 많게 나타났으며 이들 1인가구주의 혼인상태는 미혼이 43.0%,사별이 35.1%, 유배우 12.0%, 이혼이 9.8% 등의 순이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이준석 이어 전광훈까지…쪼개지는 보수 "일대일 구도 만들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