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지역 법정관리 기업 '회생'늦다

'대구.경북 경제는 아직도 법정관리 중'.경기회복에 힘입어 대구를 제외한 전국 6대 도시의 법정관리(회사정리절차) 기업은 큰 폭으로 줄어든 반면 대구.경북은 거의 변동이 없어 지역의 경제난과 취약한 산업구조를 반영하고 있다.

전국 7대 도시의 지방법원 파산부에 따르면 서울 경우 현재 법정관리기업은 48개로 IMF 직후 100개를 넘었던 것과 비교하면 절반 이하로 준 셈. 서울지법 한 관계자는 "주로 기업간 인수합병(M&A)을 통해 법정관리를 벗어난 기업들이 많아 법정관리기업의 수가 대폭 줄었다"고 밝혔다.

대구보다 경제력이 크고 기업체의 수가 많은 부산과 인천의 법정관리기업은 각각 13개, 22개로 30개인 대구보다 훨씬 적다. 부산, 인천 역시 M&A 또는 자구노력이 성과를 거둬 법정관리를 벗어난 기업이 10개 가까이에 이른다는 게 법원 관계자들의 얘기다. 특히 부산의 경우 대기업인 삼성자동차가 법정관리를 벗어나 지역 경제에 큰 활력소가 됐다는 것.

IMF 직후 법정관리기업이 19개였던 대전은 현재 6개로 큰 폭 감소했고 광주 역시 20여개에서 지금은 10개로 줄었다. 울산은 법정관리기업이 2개에 불과하다.

반면 대구.경북의 법정관리기업은 현재 30개로 IMF 직후와 별반 차이가 없다. 법정관리중인 지역 기업들이 기업 인수합병을 통해 살 길을 찾으려는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으나 투자자들을 쉽게 구하지 못해 기업회생에 애를 먹고 있다.

지난 5월 대구시 달서구 ㄱ정공이 ㄱ컨소시엄과의 M&A를 성공시켰고, 지난 해 12월 법정관리기업인 ㅌ기공이 법원으로부터 정리계획안 변경을 인가받아 ㅅ기계와 합병됐을 뿐 법정관리를 벗어난 기업이 매우 드문 실정이다.

법원 한 관계자는 "기업간 인수합병이 법정관리기업의 새로운 회생방안으로 떠오르고 있지만 지역 법정관리기업 경우 대부분 섬유, 건설 등으로 투자 메리트가 적어 적극적인 인수합병이 이뤄지지 않는 형편"이라며 "법정관리 기업이 서울 다음으로 많아 가뜩이나 어려운 지역경제에 짐이 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대현기자 sky@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