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이 바닥을 모르고 추락하고 있다.9일 서울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날보다 9.2원 낮은 1천182.20원에 거래를 마쳤다.
이는 지난 4월12일(1천331.9원)과 비교할 때 무려 11.23%나 하락한 것이다. 원·달러 환율이 급락세가 이어지면서 '환(換) 테크'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환율의 추가 하락을 가정했을 때 환율 하락에 따른 손해를 줄일 수 있는 환테크에 대해 알아 본다.
▨보유중인 달러는 팔고, 달러 매입은 미룰 것=환율이 내린다는 것은 원화로 달러화를 싸게 살 수 있다는 말이다. 따라서 환율이 내리는 추세라면 더 떨어지기를 기다렸다가 환전하는 것이 유리하다.
해외여행 후 남아 있는 달러가 있다면 환율이 더 떨어지기 전에 서둘러 원화로 바꾸도록 한다. 반대로 해외여행을 가기 위해 달러가 필요할 경우 달러 매입 시기를 최대한 늦춘다.
유학생 자녀를 둔 학부모가 해외에 있는 자녀에게 학비를 보낼 때는 송금을 최대한 늦추는 것이 유리하다. 기업의 경우 수입대금 결제시기를 최대한 늦추는 것이 원화 비용을 최소화하는 길이다.
▨해외 여행시 신용카드를 사용=해외 여행 때는 신용카드를 사용하는 것이 환율 하락에 대비한 재테크 요령이다. 해외 여행 때 신용카드를 사용할 경우 물건 매입 시점이 아닌 4, 5일 후 결제시점의 환율이 적용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지금처럼 환율이 내리고 있는 상황이라면 해외에서는 신용카드를 쓰는 것이 득이다.
▨수수료 절약도 환테크=환율 예측 못지 않게 환전 수수료를 절약하는 것도 환테크 포인트다. 1달러를 1천200원에 사서 환율이 1천220으로 올라가면 달러당 20원만큼의 이익이지만, 환전 수수료가 달러당 20원 이상이라면 이득이 없다. 따라서 환전을 할 때는 적어도 몇개 은행에서 환율을 확인해 수수료가 가장 낮은 곳을 고르는 게 좋다.
해외 여행후 남은 달러를 나중에 다시 사용해야 한다면 환율이 크게 하락하지 않는 한 환전하지 말고 외화 예금통장에 입금하는 것도 고려해 볼 만하다. 환율 하락에 따른 손실보다도 원화로 달러화를 살 때 추가되는 수수료가 클 수 있기 때문이다.
환전 수수료는 달러화를 살 때와 팔 때 기준 환율보다 각각 1.9%를 더한 가격이 적용되기 때문에 달러를 샀다가 되팔 경우 매입금액의 3.8%에 해당하는 수수료를 부담하게 된다.
▨수출업체는 환변동 보험으로 리스크 회피=수출업체라면 환율변동에 따른 환차손을 걱정하지 않을 수 없다. 이 경우 한국수출보험공사에서 취급하는 환변동보험을 이용해 볼 만하다.
이는 수출거래시 환율 변동에 따른 수출업체의 환차손을 보상해 주는 보험 상품이다. 환변동보험에 가입하면 외화표시 수출계약의 경우 한국수출보험공사가 일정한 환율을 보장하고 그 차액을 보전하거나 환수함으로써 리스크를 줄여 준다.
▨주의할 사항=자신의 예측과 반대 방향으로 환율이 움직일 경우 환테크는 오히려 큰 손실로 이어진다. 현재로서는 환율의 하락세는 당분간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 대다수 외환 전문가들의 전망이다. 그러나 만일 환율이 바닥을 찍고 상승세로 돌아선다면 앞서 열거했던 요령과 반대인 환테크 전략을 구사해야 할 것이다.
김해용기자 kimhy@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포항 찾은 한동훈 "박정희 때처럼 과학개발 100개년 계획 세울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