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개각 파동' 악화일로

7.11개각이 중립내각 구성이라는 여론과 정치권의 요구를 무시한 오기 인사의 재판이라는 비난을 받은데 이어 장상 총리서리가자질 문제와 함께 도덕성 시비에까지 휘말리는 등 개각 후유증이 확대일로에 있으나 청와대는 이렇다 할 수습책을 마련하지 못한채 골머리만 앓고 있다.

청와대는 개각 이후 쏟아지고 있는 문제제기에 대해 겉으로는 김 대통령을 흔들려는 정치공세라며 일일이 대응하지 않겠다는 입장이나 속으로는 이번 사태를 잘 수습하지 못할 경우 김 대통령의 국정장악력에 치명적인 손상이 올 수 있다며 긴장을 늦추지 못하고 있다.

가장 우려하고 있는 것은 장 총리서리가 지금 불거진 자질과 도덕성 시비를 극복하고 국회의 임명동의를 받을 수 있느냐 하는 것.현재 장 총리서리는 아들의 한국국적 포기 사유에 대해 명확한 해명을 하지 못하고 있으며 아들이 미국국적자이면서도 의료보험혜택을 받아온 것이 드러난데다 본인의 학력과 관련해서도 허위기재 의혹을 받고 있는 상황이다.

이같은 의혹들에 대해 청와대는 아직 뚜렷한 입장을 보이지 않고 있다. 박선숙 대변인도 『제기된 의문에 대해 본인이 성의있게 답변하고 있으니 좀 더 지켜봐달라』며 구체적인 언급을 피했다. 장 총리서리 문제에 대해 청와대가 이렇다 할 대책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이태복 전 보건복지부 장관과 송정호 전 법무장관이 경질에 대한 불만을 표시하며 물러난데 이어 장관 물망에 올랐던 윤형규 문화부 차관이 사의를 표명하고 출근하지 않고 있는데 대해서도 청와대는 곤혹스런 표정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청와대는 '이 전 장관이 제기한 외국제약업계의 로비설'에 대해 "외국 업계의 로비에 휘둘려 개각하는 정부도 있느냐"며 강하게 부인하고 있으나 한나라당이 '이 문제를 국회에서 집중적으로 다룰 것'이라고 밝히는 등 파문이 확산될 조짐을 보이자 어떻게 대응해야할지 모르겠다며 난감한 표정이다.

송 전 장관이 퇴임사에서 "싸워 죽는 것은 쉬우나 길은 내줄 수 없다"는 임진왜란 당시 동래부사 송상헌의 말을 인용, 청와대를겨냥해 홍업씨 선처 압력을 받았음을 시사한 것도 청와대를 궁지로 몰아넣고 있으나 청와대는 『교체할 만한 이유가 있었다』는 말 이외에는이렇다 할 대응을 하지 못하고 있다.

정경훈기자 jgh0316@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