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이 확실히 달라지고 있다. 그 전기는 역시 '대통령의 두 아들 구속'이 결정적인 계기가 된 게 아닌가 싶다. 사실 지난 1월 '이명재 검찰총장'이 취임하면서 법조계 내부에서 부터 '검찰의 변화'를 예견하긴 했지만 대통령의 두 아들 모두를 구속한다는 건 어렵지 않겠느냐는 게 일반적인 시각이었다.
아니나 다를까 '홍걸씨 구속' 이후 '홍업씨 사건'은 월드컵과 맞물리면서 주춤했던 게 사실이었고 항간에선 '그럼 그렇지…'하는 반응이었다. 그러나 그건 기우에 그쳤을 뿐 아니라 내막을 알고보니 송정호 당시 법무장관에 대한 청와대 참모진들의 '압력'이 거셌지만 송 법무가 간부회의까지 열어가면서 과감하게 뿌리쳤다는 사실까지 공개되면서 검찰이 의외로 '변화차원'을 넘어 '견고'내지 '결속'되고 있음을 확연히 감지되고 있다.
▲검찰의 변화는 수신제가 치국평천하(修身齊家 治國平天下)랄까, 내부의 '환부'도 도려내고 외부도전엔 강하게 대처해가는 모습으로 나타나고 있다. 신승남 전 검찰총장과 김대웅 광주고검장을 사법처리한데 이어 신 전 총장의 부당한 '명령'에 순응한 수사검사들까지 징계조치한 건 검사들에겐 대단한 충격적인 '사건'이다.
솔직하게 말해 검찰총수의 부탁은 현실적으로 일선 검사 입장에선 불가항력적이었던 게 지금까지의 검찰풍토였는데 이걸 앞으론 용납않겠다는 가히 혁명적인 시사를 '이명재 검찰'은 행동으로 한 셈이다.
▲이런 가운데 '홍업씨 여죄'도 촉각에 잡히는 대로 철저히 밝히겠다는 게 검찰의 입장인 가운데 이수동 전 아태재단이사 집에서 꼬투리가 잡힌 이수용 전 해참총장의 '20억원'에 대한 내막을 추적하고 있다. 연예계비리 수사도 '대충하고 지나가겠지…'하는 일반의 짐작을 뒤엎고 그 끝이 어디인지모를 정도로 강도 높게 진행되고 있다.
아마도 수사팀엔 숱한 '압력'이나 '유혹'이 있었을건데…. 방송계는 검찰의 예리한 칼날에 지금 완전히 얼어붙어 있다. 다음 타킷은 어디일까 싶을 정도로 검찰행보가 강하고 굳건해졌다.
▲그러나 검찰은 아직 넘어야 할 산이 많고 높다. 일본검찰이 정계를 비롯 사회기강을 확실히 잡게된 계기가 바로 지난 73년 '록히드사 뇌물사건'에 연루된 당시 '다나카 수상'을 동경지검 특수부 검사들이 과감하게 구속하고부터이듯이 우리 검찰도 더 큰 거목(巨木)에 대한 배고픔을 더 느껴야 한다.
그런 뜻에서 송정호 전 법무의 '싸워서 죽는 것은 쉬우나 길을 내줄 수는 없다'는 이임사나 이명재 총장의 사임파동은 '검찰독립'을 위한 권력핵심층과 검찰내부에 던진 강력한 메시지로 오늘 제헌절에 새삼 의미있게 들린다.
박창근 논설위원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