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들어 하루 평균 17만7천병(500㎖ 기준)의 위스키가 국내에서 팔린 것으로 나타났다.18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6개월간 국내에서 판매된 위스키는 모두 177만9천463상자(500㎖ 18병)이며, 병 단위로 환산하면 3천203만병(일평균 17만6천963병)에 달했다.
이는 월 534만병꼴로 성인 남자 1명당 매달 위스키 반병씩을 마시는 셈이다.브랜드별로는 '임페리얼 키퍼'(진로발렌타인스)가 50만8천578상자로 전체 위스키 판매량의 28.6%를 차지해 압도적인 1위였고, 그 다음은 △윈저 12년(디아지오코리아.29만1천621상자) △딤플(하이스코트.25만2천850상자) △스카치블루(롯데칠성닿20만1천669상자) 순이었다.
모두 숙성기간 12년(프리미엄급)에 소매가(700㎖ 기준) 4만원 정도인 이들 4개브랜드의 시장 점유율이 70%를 상회, 아직 수량면에서는 중저가 브랜드가 국내 위스키 시장을 주도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또 500㎖ 소매가 4만원 정도로 프리미엄급 바로 윗 단계인 디럭스급 위스키 중에는 디아지오코리아의 '윈저 17년'이 12만6천312상자로 단연 1위였고, '발렌타인마스터스'(진로발렌타인스.2만9천143상자), '스카치블루 17년'(롯데칠성.1천196상자)등이 뒤를 이었다.
소매가 10만원 이상의 슈퍼프리미엄급 위스키 중에는 진로발렌타인스의 '발렌타인 17년'이 3만2천91상자로 전체 시장(5만1천384상자)의 62%를 점유했고, △'로얄살루트' (페르노리카코리아.2천77상자) △'시바스리갈 18년'(페르노리카코리아.1천101상자) △조니워커블루(디아지오코리아.503상자) △발렌타인 30년(진로발렌타인스.134상자) 등 그밖의 브랜드는 미미했다.
올들어 가장 큰 폭으로 판매량이 증가한 브랜드는 소매가(700㎖ 기준) 28만원의'조니워커블루'(디아지오코리아)로 지난해 월 50상자에서 올해 상반기에 월 84상자로 68%나 늘어났다.
그밖에 '발렌타인 17년'은 지난해 월 3천688상자에서 올상반기에 월 5천349상자로 45%, '로얄살루트'는 월 270상자에서 월 346상자로 28% 증가해 비교적 높은 신장률을 보였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경선 일정 완주한 이철우 경북도지사, '국가 지도자급' 존재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