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노무현 후보가 햇볕정책의 한계 봉착과 용어에 대한 문제점을 제기함으로써 대북정책에서 김대중 대통령과다른 목소리를 내기 시작한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김 대통령과의 본격적인 차별화의 일환이 아니냐는 지적이 일자 노 후보 측은 "햇볕정책 지지에는아무런 변화가 없지만 시행과정에서의 몇가지 문제를 지적한 것일 뿐"이라고 해명하고 나섰다.
노 후보가 '햇볕정책'으로 표현되는 정부의 대북정책을 걸고 나선 것은 23일 오전 일본의 주요 언론사 논설위원들과의 면담에서다. 노 후보는 "시행과정에서 몇가지 문제가 있고 한계에 봉착한 것 같다"면서"북한에서도 그렇고 특히 남한에서 지지를 잃고있어 이 명칭(햇볕정책)을 계속 사용하지않는 것이 좋겠다"고 말했다.
그는 또 "햇볕정책은 추진과정에서 국민의 동의를 충분히 받지못하고 실행함으로써 많은 장애를 받게됐고 특히 6.15 정상회담을 정략적으로 이용하고 있지않느냐는 의심을 받는 것도 문제"라고 말했다.
노 후보는 그동안 김 대통령의 대북정책을 전폭적으로 지지해왔다. 지방선거 전에는 "대북정책만 잘하면 다른 것은 깽판을 쳐도 괜찮다"는 발언으로 파문을 불러일으키기도 했을 정도였다.
이에 따라 그의 햇볕정책에 대한 비판은 '8.8 재보선'을 의식, 본격적으로 김 대통령과의 차별화에 나서겠다는 뜻으로 해석되고 있다.
청와대에서는 노 후보에 대해 "노 후보가 뭔가 잘 모르고 있는 것 아닌가 본다"며 불쾌감을표시하는 등 민감하게 반응했다.
파문이 확산될 조짐을 보이자 노 후보의 정동채 비서실장이 "노 후보의 취지는 햇볕정책을 업그레이드시키자는 뜻이었으며 DJ와의 차별화가 아니다"며 진화에 나섰다.
정 실장은 "북한의 사과와 재발방지 약속 등의 조건이 선행되지 않을 경우 대북교류의 속도조절이있어야한다는 뜻이지 교류자체를 중단시킨다는 말은 아니다"고 덧붙였다.
서명수기자 diderot@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