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보존.목격자 확보
휴가철을 맞아 고의 교통사고를 위장해 거액의 보험금을 타내려는 보험사기단이 극성을 부리고 있다.
특히 최근의 보험사기단 사례는 보험범죄가 자신의 신체자해 등 단순생계형 범죄를 넘어 불특정 다수인을 대상으로 한 기업형 범죄로 바뀌고 있는 추세다.교통사고 대응 능력이 취약한 초보.여성운전자, 불법유턴 등 교통법규 위반자들은 보험사기단이 노리는 대상이다.
대구지방경찰청과 금융감독원은 고의 교통사고를 위장, 보험금을 타내려는 보험범죄에 대처하는 행동요령을 발표했다.
행동요령에 따르면 이들은 주로 △일방통행 길목에서 기다리다 역주행하는 차량과 일부러 부딪히거나 △초보.여성운전자를 대상으로 백미러 등에 의한 사소한 충격에도 골절 등 중상을 주장하며 다수의 일행들이 합의를 강요하는 방법 등을 사용한다. 특히 '초보운전'표지를 붙인 차량이 사기단의 표적이 되고 있다.
또 △음주운전 등 교통법규 위반차량을 대상으로 급정거 등 방법으로 고의로 사고를 유발하거나 △가해운전자가 책임보험만 가입돼 있는 경우 치료비 명목 등으로 고액의 합의금을 요구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
이들 보험사기단은 '사고시 상대운전자 앞에서 허리나 목 등을 만지며 다친 것처럼 행동하라', '병원에서 전신을 다친 것처럼 3주이상의 진단을 받고 입원하라' 등 행동강령에 따라 상해를 가장, 형사합의금을 갈취하는 방법을 주로 쓴다.
또 사기단은 표적이 된 가해 운전자가 당황하는 점을 이용, 협박과 함께 사고내용을 과장하거나 과실을 일방적으로 떠넘기는 특성이 있다.
이에 따라 대구시경과 금감원은 우선 보험사기단은 범죄대상을 법규위반 등 약점이 있는 운전자를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교통법규를 준수해 사기단의 표적이 되지 않도록 유의할 것을 당부했다.
시경과 금감원은 이같은 경우 침착하게 사고현장을 보존하고 목격자 연락처를 확인하는 등 조치를 취하거나 가입보험사나 관할 경찰서에 사고내용을 통지해 전문적 조언을 받도록 할 것을 주문했다.
이와함께 사고 규모에 비해 피해자들이 장기입원하거나 협박과 함께 지나친 형사합의금을 요구하는 등 보험사기 혐의가 농후한 경우 관할 경찰서(시경 교통과 764-7548)나 금감원내 '보험범죄신고센타'(02)3786-7520)에 신고해줄 것을 당부했다.
김교영기자 kimky@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