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정부의 '경제특구' 지정에 대해 대구시와 지역경제계가 보인 미온적인 태도와 반응은 지역민을 실망시키기에 충분하다.
동북아 비즈니스의 중심지로 발돋움하기 위해 정부가 마련한 특단의 조치인 '경제특구'에 대구지역이 제외됐음이 알려졌음에도 대응을 않고 있다가 그 실현방안이 확정된 이후 뒤늦게 대구시가 "추가지정"을 건의하고 대구상의가 "특단의 조치"를 운운하는 등 '물건너간 뒤' 몸부림치는 모습을 보이고있어 안타깝기 짝이 없다.
정부는 29일 '동북아 비즈니스 중심국가 실현방안' 정부시안을 확정, 수도권 서부지역의 인천공항, 영종도, 송도신도시 외에 부산항, 광양항 인근을 '경제특구'로 지정했다. 경제특구 내에는 영어가 공용어로 인정되고 외국환거래가 자유롭게 허용되는 등 외국인 투자 유치를 위한 엄청난 인센티브가 부여된다. 따라서 경제특구 이외에는 외국 기업유치가 어려운 상황이다.
그런데 이런 중대 사안인 경제특구 지정 과정을 대구시는 '불구경'했다니 그야말로 한심한 노릇이다. 청와대에서 경제특구에 대한 청사진이 마련된 시점은 지난 4월4일이었다. 당시는 수도권 서부 3개지역만 거론됐는데 곧바로 부산·광양의 거센 반발에 부닥쳤다.
특히 부산지역은 부산시와 부산상의가 앞장서 '부산 경제특구 탈락 이유없다'며 '수도권 집중억제'를 포기한 것이 아니냐는 비판을 쏟아냈다. 결국 정부도 한달만에 부산과 광양을 부랴부랴 경제특구로 추가 지정할 수밖에 없었다.
여건이 다소 불리하다 해도 대구시는 경제특구 지정에 필요한 기본계획조차 마련하지 못했다니 무능(無能)행정이 아니고 무엇인가. 특히 대구시는 구지산업단지와 성서4차단지를 외국업체에다 분양할 계획을 세우고 있는데 인근에 경제특구가 생기면 어느 외국기업이 입주를 한단말인가.
경제특구 지정에 준비조차 않았다는 것은 중대한 행정실책이다. 민선 3기에는 지방정부의 변모한 모습을 보여줘야 할 것이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