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치아건강 2080-입냄새

입 냄새(구취)는 자신에게 고통스러울 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들에게도 불쾌감을 준다.구취는 입이나 인접 기관에서 유래하는 냄새. 입, 코, 호흡기, 소화기 등으로부터 발생하지만 약 90%는 입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구취의 발생은 주로 입 안에 존재하는 치면 세균막(치태)과 음식물 찌꺼기 등이 세균에 의해 부패하면서 발생하는 악취성 기체(휘발성 황 화합물)에 의해 주로 비롯된다.

먼저 구강 내 원인을 살펴보자.

성인에 있어 구취의 가장 중요한 원인은 치주질환(잇몸병)에 의한 것이며 이것은 치태에 의해 발생한다.

치아나 혀에 붙어 있는 음식물 찌꺼기가 구강 미생물에 의해 부패될 때, 충치로 인해 치아가 썩었을 때, 불량한 보철물이 있거나 의치의 위생 상태가 청결하지 못할 때에도 냄새가 난다.

이 밖에 마늘, 파 등 냄새가 강한 음식을 섭취하거나 음주나 습관적인 흡연을 하는 경우도 원인이 된다.

구강 외 원인도 있다. 비염, 축농증, 편도선염 같은 질환, 만성 악취성 기도염, 기관지 확장증, 폐 농양 등의 호흡기 질환, 소화기 질환이나 당뇨. 신장 질환, 간 질환 등을 가진 경우도 냄새가 발생한다.과도한 스트레스나 여성의 경우 월경이 입냄새를 유발하기도 한다.

구취의 자가진단은 어떻게 할까.

컵에 자기 입김을 약하게 불어 넣은 후 컵을 막고, 숨을 한번 크게 내쉰 후, 컵 속에 코를 대고 냄새를 맡는 방법이 있다.

또 치실을 이용하여 치아 사이를 청소를 한 뒤 이 치실을 빼내 가까이서 냄새를 맡거나 깨끗한 헝겊으로 혓바닥 깊숙한 곳을 두 세 번 긁어내어 냄새를 맡는 방법 등이 있다.

구취가 있다면 먼저 치과 의사의 진료를 받는 게 좋다. 구취의 원인이 대부분 입 안에 있기 때문에 구강위생관리에 대한 평가와 구취 병력 등을 확인하고 좀 더 정확한 진단을 위해 구취 측정을 받기도 한다.

입 냄새의 가장 큰 원인인 치주질환이 있는 경우 치석제거 등의 잇몸 치료와 올바른 칫솔질이 필요하다.

충치로 인한 냄새는 수복 치료를 받아야 하며 불량한 보철물은 제거한 후, 잇몸을 자극하지 않고 칫솔질이 잘 되는 형태로 새로 만들어야 된다.

의치 때문에 냄새가 날 때는 칫솔질할 때 의치를 가볍게 닦고 취침시에는 세척 후 물에 담가 두면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김교영기자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