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상거래를 이용하는 소비자들은 현재 주로 신용카드로 대금결제를 하고 있지만 앞으로는 인터넷 뱅킹, 휴대폰, 전자화폐 등 전자결제수단을 이용할 생각이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소비자보호원은 최근 전자상거래 이용 경험이 있는 전국 7개 도시의 소비자1천575명을 대상으로 전자상거래 결제실태를 조사한 결과 결제수단별 이용경험(복수응답)은 '신용카드'가 전체의 77.7%로 가장 많았다고 최근 밝혔다.
그 다음은 '인터넷 뱅킹'(28.9%), '휴대폰 결제'(18.9%), 'CD.ATM 계좌이체'(15.4%), '폰뱅킹'(11.9%), 'ARS 결제'(4.8%), '선불형 전자화폐'(2.9%) 등의 순이었다앞으로 이용하고 싶은 결제수단(복수응답)은 '인터넷 뱅킹'이 51.7%로 가장 많았고, '휴대폰 결제'(40.9%), 'ARS 결제'(9.7%), 'IC카드형 전자화폐'(7.9%), 'e메일 뱅킹'(7.3%) 등이 뒤를 이었다.
전자결제 수단별 안전성, 편리성, 비용 등에 대한 인식을 1~7점으로 평가해 평균 점수를 매긴 결과 안전성은 온라인 계좌이체가 4.55점으로 가장 높았다.
편리성에 대한 평가에서는 신용카드가 5.51점을 기록해 가장 높았고, 수수료 등 제반 비용에 대한 평가는 전자화폐가 3.99점으로 가장 좋게 나왔다.
한편 소보원이 지난해 1월부터 올해 4월까지 접수된 전자상거래 결제 관련 피해사례를 유형별로 조사한 결과 △시스템 장애 △미사용대금 청구 △결제대금 이중 청구 △소비자의 조작 실수 등으로 인한 피해가 많았던 것으로 분석됐다.
소보원은 "새로운 유형의 전자상거래 피해가 늘어날 것에 대비해 다양한 소비자보호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연휴는 짧고 실망은 길다…5월 2일 임시공휴일 제외 결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