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소세 인하와 경기회복 등 영향으로 올들어 7월까지의 자동차 내수판매가 지난 96년 이후 최고치를 나타냈다.
특히 지난 6, 7월 현대자동차와 기아자동차의 노사분규에 따른 생산차질로 승용차 주문량이 20만대 가량 밀려 있는 상황을 감안하면 올들어 내수판매가 사상 최대치로 분석되고 있다.
한국자동차공업협회에 따르면 올들어 7월까지 자동차 내수판매 대수는 모두 94만3천508대로 지난 96년 같은 기간의 95만866대에 이어 6년만에 사상 두번째 최고치를 기록했다.
자동차 내수판매 대수는 97년 88만6천860대, 98년 42만8천950대, 99년 65만4천574대, 2000년 85만2천167대, 2001년 83만4천416대였다. 반면 이 기간 자동차 수출은 79만4천593대로 작년 동기보다 6.4% 감소했다.
이같이 자동차 내수가 늘어난 것은 특소세 인하와 경기회복, 월드컵 및 지방선거 특수 영향 등에 따른 것으로 업계는 풀이했다.
승용차 형태별로는 스포츠용 지프(SUV)가 7월까지 17만1천277대로 작년 동기보다 60.2% 증가했고 2천cc 이상 대형 승용차가 6만4천390대로 25.3% 증가한 반면 경차는 3만5천771대로 29%나 감소했다.
또 7월 한달간 차종별 내수판매량은 뉴EF소나타, SM5, 포터, 아반테XD, 스타렉스, 싼타페, 그랜저XG, 뉴봉고프런티어 등 순이었다.
김병구기자 kbg@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포항 찾은 한동훈 "박정희 때처럼 과학개발 100개년 계획 세울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