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경북지역의 교통사고 사망자가 전국 평균을 크게 웃도는 등(본지 8월5일자 28면 보도) 지역 운전자들의 교통안전이 크게 위협받고 있는데도 정작 각 시.군.구는 교통안전시설의 신.증설을 위한 예산 배정에 인색하다.
현재 국도 및 지방도의 교통신호기.안전표지판.차선도색 등은 경찰이 필요 여부를 판단해 각 시.군에 소요 예산을 신청, 지자체가 이를 집행토록 돼 있다.
올들어 경북도내 각 경찰서는 23개 시.군별로 1억3천여만원에서 26억8천여만원에 이르는 각종 교통안전시설 신설 및 개.보수 예산 지원을 신청했다.
그러나 경찰측이 요청한 예산액을 전액 반영한 지자체는 10곳에 불과하고, 나머지 시.군들은 당초 요구액에서 20~30%씩 삭감해 예산을 편성했다.
고령군의 경우 지난해 자동차 1만대당 교통사고 사망자가 23.13명으로 전국 평균보다 3배 가량 높았다. 이는 전국 232개 시.군.구 중 20번째(경북도내 23개 시.군 중 3번째)로 많은 것. 그런데도 올해 교통안전시설 예산은 1억4천500만원으로 당초 경찰의 요구액 2억3천700여만원의 61.1%만을 배정해 도내 최하위의 예산 확보율을 보였다.
때문에 고령 덕곡면 후암삼거리 등에 신호경보기를 신설하지 못했고, 9천600여만원을 들여 새로 설치하려던 교통안전표지판도 전혀 세우지 못했다.
또 당초 예산 신청액의 73.2%인 2억5천여만원을 배정한 예천군의 경우 올해 감천 덕률삼거리 신호기, 예천역 앞 시각장애인용 음향신호기 등을 신설할 수 없게 됐다.
경북 23개 지자체 중 울릉을 뺀 나머지 모든 시.군의 자동차 1만대당 사망자가 전국 평균을 크게 웃돌고 있지만 교통안전예산 확보율은 경산 72.9%, 영천 70.5%, 성주 61.5%, 청송 66.7% 등으로 기본적인 안전시설 설치도 불가능한 실정이다.
군청 한 관계자는 "재정자립도가 15%선에 불과한 지자체도 교통안전예산만큼은 100% 배정한다"며 "게다가 예산규모가 다른 항목에 비해 훨씬 적은데도 자주 삭감되는 것은 담당자나 기초의회의 관심 부족에 비롯된다"고 지적했다.
김수용기자 ksy@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포항 찾은 한동훈 "박정희 때처럼 과학개발 100개년 계획 세울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