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국내은행 순익 30% 늘어

상반기 국내 은행들은 모두 흑자를 기록해 순이익이 작년동기대비 30%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그러나 2분기에는 대손충당금 적립 강화 등에 따라 작년동기보다 12.5% 감소했으며 가계대출과 수수료 부문에 대한 의존도가 심화되고 있어 수익구조는 여전히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20개 국내 은행의 영업실적을 분석한 결과 순이익은 4조484억원으로 작년동기대비 30.4%(9천428억원) 늘었다.

이는 예수금이 64조원으로 작년동기대비 14.3% 증가하는 등 영업규모의 꾸준한 확대와 예대금리차 확대, 수수료수익 증가, 부실채권 축소 등에 따른 것이라고 금감원은 분석했다.

부문별로는 총이자부문 순이익이 전체의 46.1%로 작년수준을 유지했지만 가계대출이자와 수수료부문 순이익이 각각 69.2%, 38.2% 급증하면서 순이익 증가를 주도해 수익구조는 여전히 취약한 것으로 분석됐다.

가계대출이자는 대출규모가 53.5% 급증한데다 예대금리차가 3.6%로 기업대출의 2.6%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아 대폭 늘었으며 은행 전체의 이익에 차지하는 비율은 작년동기대비 10.8%포인트 증가한 44.2%에 달했다.

수수료 수익도 2조4천176억원으로 45.7% 급증했으며 수수료부문 순이익은 1조5천42억원으로 38.2% 증가, 은행 전체의 이익에 차지하는 비율은 29.4%로 작년동기대비 2.2%포인트 늘었다.

반면 기업대출부문은 설비투자 등 신규자금수요가 증가하지 않고 하이닉스 등에 대한 대손충당금 적립 강화에 따라 7천604억원의 손실을 기록해 적자를 벗어나지 못했다.

이밖에 총자산이익률(ROA)도 0.8%로 선진국의 주요은행(2.3∼1.5%) 및 외국은행국내지점(1.1%)에 비해 상당히 낮았고 대손충당금적립비율(대손충당금잔액/고정이하여신잔액)도 91.9%로 미국은행의 130·9%에 훨씬 못미쳐 재무건전성도 미흡한 것으로나타났다.

아울러 6월말 은행권의 고정이하여신비율(부실채권비율)은 지난해말보다 1.0%포인트 하락한 2.4%로 사상 최저치를 기록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