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열린 대구시의회 시정질문은 조해녕 시장이 선거 공약으로 내건 '낙동강 프로젝트'의 실현 여부와 이와 연관된 위천국가단지 개발 문제가 도마위에 올랐다.
낙동강 프로젝트는 물 부족으로 수질 악화와 연안 발전이 지연되고 있는 낙동강 주변 지역을 개발하기 위해 조령에 터널을 뚫어 상대적으로 수량이 풍부한 남한강 물을 끌어온다는 계획이다.
이날 질문에서 손명숙·김화자 의원은 "낙동강 프로젝트는 예산 규모조차 나오지 않을 만큼 방대한 것이며 사업 성격상 국책 사업으로 진행돼야 한다"며 "자칫 10년이라는 세월을 흘려보낸 위천 꼴이 될 수도 있다"며 반대 의사를 밝혔다.
김충환 의원도 "이는 수도권과 영남의 물 분쟁을 부르고 남한강 생태계 변화를 가져올 수도 있다"며 "이미 시행에 들어간 낙동강 특별법과도 상당한 괴리가 있으며 낙동강 상류 지역 댐 건설지 수몰민의 대규모 반발이 뻔하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조 시장은 "대구의 큰 발전상을 위해 그리는 밑그림이며 임기내 실현 여부는 중요치 않다"며 "위천단지가 표류하는 것도 근본적으로 수량 부족에 따른 오염 가속화 때문으로 대구가 금호강 시대를 벗어나 낙동강 개발 시대를 맞기 위해서는 필요한 것"이라고 밝혔다.
또 조 시장은 "도수로가 뚫리면 낙동강 연안에 신도시와 친환경적 공단 조성이 가능하다"며 "이를 위해영남권 5개 광역단체장 협의회를 준비하고 있다.
국책사업 지정을 위해 당정협의 등을 통해 노력할 것이며 사업 예산 규모는 12월쯤 나올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나 구본항 의원 등은 "만약 국책사업으로 지정이 안될 경우 어떻게 하겠느냐"며 "계획 자체가 너무 이상적이고 추상적"이라며 몰아붙였다.이와 관련 위천 국가단지 지정과 시행 예정인 낙동강 물 분담금 및 오염 총량제도 거론됐다.
김창은·정홍범 의원은 "위천 개발을 위해 대구는 지난 10여년간 1조5천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수질개선에 나섰으나 효과가 없으며 다시 낙동강특별법 재정으로 수돗물값과 하수 비용을 추가 부담해야 한다"며 "상경 시위를 하든지 시가 특단의 대책을 세워달라"고 요구했다.
조 시장은 "이 문제는 지역간 민감한 이해관계 걸린 문제로 합리적으로 풀어야 한다"며 "지금까지 설득방식에 문제가 있었다고 보고 좀더 구체적인 통계 자료 등을 통해 정부관계자와 부산시 설득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이재협기자 jh2000@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