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풍 루사로 인한 재산피해가 사상 최대를 기록하고 있는 가운데 대구도 하루 300㎜이상의 비가 내리면 신천, 금호강 등의 제방 치수능력이 한계에 이르는데다 복개하천 및 하수도 관리 등 수해 방지시스템도 엉망이어서 집중호우시 최악의 물난리를 겪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실정이다.
대구시와 전문가들에 따르면 대구지역 하천 제방의 경우 신천은 하루 279㎜, 금호강은 217㎜의 강우량만 감당할 수 있도록 설계돼 하루 200㎜이상의 국지성 게릴라 폭우를 만나면 물바다를 면할 길이 없다는 것.
또 하수도의 경우 간선은 시간당 55.5㎜, 지선은 47.1㎜의 강우량을 감당할 수 있도록 설계됐지만 하수도 집수정의 설치 간격과 용량이 적어 시간당 15~20㎜의 비만 내려도 통제 능력을 상실하기 일쑤라는 것.
집중호우시 원활한 통수와 침수 방지역할을 해야할 방촌천, 달서천 등 6곳의 복개하천도 시간당 70~80㎜의 강우량을 감당할 수 있도록 설계됐지만 수년간 준설 등 아무런 정비없이 방치돼 각종 부유물질과 토사가 하천바닥에 쌓여 통수 능력을 잃어가고 있다.
서규우 부산 동의대 교수(토목공학과)는 "복개하천 관리를 방치하면 이번 강릉의 경우처럼 복개하천 내 역류현상이 발생, 물살이 맨홀을 뚫고 나와 시가지 곳곳으로 범람, 걷잡을 수 없는 피해가 발생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대구기상대에 따르면 대구는 지난 98년(225.8㎜), 82년(210.1㎜), 48년(203.2㎜) 등 세차례에 걸쳐 200㎜가 넘는 비가 하루동안 쏟아진 적이 있다.
이상준기자 all4you@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 "24일 오후 9시, 한미 2+2 통상협의…초당적 협의 부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