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명절선물 인기품목 50년 변천사

서울의 한 백화점에서 올 추석선물로 1천200만원짜리 양주가 등장했다. 물론 특정계층을 겨냥한 상품이겠지만 1960년대 상류층이 가장 선호했던 선물 가운데 하나가 '그래-뉴설탕(6kg, 780원)'이었다는 사실을 감안하면 격세지감이다.

동아백화점이 명절 선물 매출과 카탈로그를 근거로 '명절 선물 50년 변천사'를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60년대 상류층이 가장 선호했던 선물은 설탕이었다. 또 맥주(한상자 2천원), 라면(한 상자 50원) 등이 처음 선물세트로 등장했고 서민들은 세탁비누(30개, 1천원)가 일반적인 선물이었다. 석유곤로(1천원), 다리미, 양복지 등 100여종의 선물이 새로 등장한 것도 60년대다.

70년대 들면서 공산품 위주의 선물세트가 급속히 확산됐다. 세탁비누가 선물 품목으로 시들해진 대신 세숫비누, 화장품세트, 반달표 스타킹 등 여성용품이 고급선물로 떠올랐다. 또 조미료와 식용류 등이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고 콜라, 환타, 오란씨 등 음료가 선물세트로 본격 등장한다.

80년대는 선물 문화가 정착되면서 선물세트가 패키지화 된다. 화장품, 정육, 과일 등 전 품목에 걸쳐 패키지화가 이뤄지고 80년대 중반 이후부터 인삼, 꿀 등 건강식품들이 각광 받기 시작했다. 특히 참치세트가 인기를 끌었고 남성용으로는 지갑, 벨트 등의 잡화가 인기품목. 이밖에도 스테인레스·크리스탈·도자기 그릇 등도 고급선물에 속했다.

90년대의 선물문화는 고가제품과 중저가 선물세트로 양극화 현상을 보인다. IMF이전 에 소득수준이 높았던 층에서는 수입양주(발렌타인 30년산 75만원)와 영광굴비 등 수십만원대의 고가선물이 오갔고 서민들은 중저가의 건강식품, 세안세트, 패션잡화 등을 주로 선물했다. 지난 94년에는 백화점 상품권이 발행돼 선물로 통용되기 시작했다.

2000년대 들면서는 동업종 또는 이업종간의 제휴가 활발해지면서 상품권이 가장 선호되는 선물로 등장했고 IMF로 타격을 입은 서민들은 1만~2만원대의 중저가 생필품을 많이 찾고 있는 추세다.

이춘수기자 zapper@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