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교과서 어떻게 믿나 편향성 시비에 무더기 오류…

중학교 국어교과서의 무더기 오류 발견으로 한국 근현대사 교과서의 편향성 시비에서도 나타났던 교과서 검정 및 편수시스템 등 교과서 정책의 문제점이 또다시 도마위에 올랐다.

특히 7차 교육과정이 시행되면서 국정교과서 수는 줄었지만 검.인정 교과서 수는 늘어나 현재의 편수인력 및 예산으로는 방대한 양의 교과서 편찬작업을 제대로 관리하기에 역부족이라는 지적이 일고 있다.

지난 96년까지 51명이던 교육부내 편수담당자가 현재는 29명으로 절반수준으로 줄어 편수담당자 1명이 담당하는 책수가 평균 32권에 달하고 공업계열의 경우 혼자서 208권을 검수하고 있다.

또 외국어 과목의 경우 독일어 담당자가 일본어, 중국어, 러시아어, 아랍어 등 6개 과목을 검수하고 있으며 심지어 편수담당자가 없는 교과도 13개 교과 24개 교과목에 이르고 있다.

과학은 화학, 지구과학 담당자가 물리과목을 함께 검수하고, 심지어 가사.실업담당자가 생물을, 역사 담당자가 지리를 담당하기도 한다. 심리학과목은 음악담당자가, 종교과목은 지구과학담당자가 검수를 담당하는 기형적인 상황도 있다.

7차교육과정 시행에 따라 국정교과서는 유치원, 초중고, 특수학교를 포함해 827권에서 721권으로 줄었지만 중학교의 경우는 32권에서 46건으로 늘었다.

특히 7차교육과정하에서 국어.한문 교과서는 국어가 국정이 70권, 검정이 110권, 한문이 검정 78권 등 가장 많은 258권에 달해 이 과목 편수담당자의 확충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예산 문제도 심각하다. 검인정 교과서의 편찬비용은 권당 2억원 정도이지만 국정교과서의 편찬비용은 이의 17.5% 수준인 3천500만원에 불과하다. 특히 책으로 발간된 이후 오류 수정 등을 위한 검수예산은 없는 것과 다름없는 실정이다.

아울러 교과서 검수 기간도 1, 2개월에 그쳐 국어의 경우 1명이 총 38권을 이 기간에 검수, 사실상 겉핥기에 그칠 수밖에 없다.

이에 따라 일본의 예처럼 1개 교과당 1명의 조사관에 3, 4명의 조사원을 배치해교과서 오류를 철저히 분석 연구하는 시스템을 갖추고, 교육관련 단체나 전문연구기관과 상시적인 업무 연계시스템을 구축하는 방안도 필요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미경 의원은 "국정 국어교과서가 문제라면 다른 과목 교과서의 문제점은 더 말할 필요도 없다"며 "7차교육과정이 시작된 첫해인 만큼 더 늦기전에 모든 교과서에 대한 전면적인 재검수 작업을 해야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