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지역 제조업체들이 올 4/4분기(10~12월)에는 매출부진이 심화될 것으로 예상, 올 하반기 전반적인 체감경기 둔화를 예고하고 있다.
대구상공회의소가 대구시역 소재 상시종업원 수 5인 이상 제조업체 200개를 대상으로 지난달 3~16일 올 4/4분기의 예상 경영애로요인을 조사, 분석한 결과 매출부진을 예상한 업체가 44.7%로 3/4분기(7~9월) 39.0%에 비해 5.7%포인트 늘어났다.업종별로는 섬유와 의류제조업이 3/4분기 44.8%에서 4/4분기 60.6%로 매출부진이 경영애로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내다봤다.
매출부진 요인으론 수요감소(41.8%)와 내수경기 하락, 섬유제조업체의 수출부진, 계절적 비수기 등을 꼽았다.
특히 섬유제품 제조업의 경우는 원화강세 및 중국산 저가제품과의 가격경쟁력 열세로 인해 수요감소(34.8%)와 함께 판매가격 하락(36.2%) 현상이 겹쳐 경영에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했다. 조립금속 및 기계장비제조업도 41.6%(전 분기 35.1%)가 수요감소로 인한 매출하락을 우려했다.
이밖에도 기업들은 원자재값 상승(35.1%)과 환율(16.1%)이 채산성 애로요인으로, 원자재가격 상승(50.9%)이 원가부문 애로요인으로, 인적자원과 전문인력 부족(69.8%)이 노사·인력부문 애로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했다.
한국은행 대구경북본부가 조사, 분석해 18일 발표한 4/4분기 대구·경북지역 제조업 업황전망 BSI(107)의 경우도 기준치(100)는 웃돌았으나 전 분기(111)보다는 하락, 하반기 경기상승세 둔화가 두드러질 것으로 예상했다.
4/4분기 매출증가율전망 BSI와 생산증가율전망 BSI도 각각 112(전 분기 119)와 110(119)으로 둔화되고 채산성전망 BSI도 94에서 91로 떨어지는 등 기업의 채산성이 악화될 것으로 전망됐다. 비제조업업황전망 BSI도 95로 전분기(112)에 비해 대폭 하락, 업계 전반이 경기악화를 예상하고 있다.
이같은 조사결과에 대해 대구상의 임경호 기획조사부장은 "경기 하락국면 때 나타나는 매출부진·수요감소를 예상한 업체의 비중이 늘어났다"면서 "하반기 지역 기업들의 채산성악화와 체감경기 하락을 예고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황재성기자 jsgold@imaeil.com
김해용기자 kimhy@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