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포스트 밀라노' 대선공약 끌어내야

◈대구시등 계획수립 부진

섬유산업 구조고도화의 관건이 되는 '포스트 밀라노프로젝트'의 성공적인 추진을 위해서는 이를 올 12월 대통령선거에서 후보들의 공약으로 이끌어내야 하며 이를 위해 주요 사업 및 예산계획 등을 조속히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 높다.

특히 99년부터 6천800억원의 사업비를 들여 섬유산업 인프라 구축에 치중해 온 밀라노프로젝트가 내년말 만료 이후 포스트 밀라노프로젝트로 이어지지 않을 경우 이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게 돼 섬유산업 도약은 물거품이 될 수밖에 없다.

업계는 밀라노프로젝트를 통해 구축된 하드웨어를 이용해 섬유 신소재, 신기술, 신정보 등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것이 포스트 밀라노프로젝트의 핵심인 만큼 이를 위한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을 대선 후보들에게 요구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대구시를 비롯한 관계단체의 포스트 밀라노프로젝트 계획수립은 지지부진한 상태다.

사업 추진 핵심주체인 대구경북섬유산업협회는 지난 3월부터 사업비 1억5천만원을 들여 포스트 밀라노프로젝트의 구체적 사업계획 수립(안)인 '대구경북 섬유산업 발전전략'을 추진해왔다.

협회는 전문가 100여명을 투입, 기획총괄팀을 중심으로 생산기술, 패션디자인.봉제, 정보마케팅, 연구개발분야 등 4개 분과위원회를 구성해 오는 11월말 계획수립을 완료한다는 방침이다.

하지만 지금까지 집필진 회의만 5차례 가졌을뿐 각 분과위원회 모임과 집필자문위원회의는 각각 1차례만 가졌을 뿐이다.

이로 인해 당초 이달중 섬유단체장, 대구시, 산자부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가질 예정이던 '중간보고회'를 3차례나 미룬끝에 다음달 초 실시할 예정이며 지역 국회의원 등을 대상으로 한 설명회도 오는 11월말에나 가질 계획이다.

또 밀라노프로젝트 추진경과 및 포스트 밀라노프로젝트에 대한 여론수렴을 위한 '밀라노프로젝트 세미나'도 오는 26일에야 갖는다.

섬유업계 관계자는 "대구시, 업계, 학계 전문가들이 힘을 모아 대통령선거 이전에 포스트 밀라노프로젝트 계획을 서둘러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김병구기자 kbg@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