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시 미국 대통령은 다음달 3일부터 2박3일간 제임스 켈리 국무부 동아태담당 차관보를 대통령특사 자격으로 평양에 파견한다고 플라이셔 백악관 대변인이 26일 성명을 통해 발표했다.
대변인은 "켈리 차관보는 북한과 포괄적인 대화를 모색한다는 부시 대통령의 뜻에 따라 미국과 국제사회가 우려했던 오랜 현안들에 관한 진전을 추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따라 켈리 차관보를 수석대표로 하고 잭 프리처드 국무부 대북교섭담당 대사, 데이비드 스트라우브 국무부 한국과장 등 국무부 국방부 국가안보회의(NSC) 등 관계자 20명 안팎으로 구성된 미국 대표단이 부시 행정부 출범 후 처음으로 3일간 평양을 방문해 현안을 집중 논의하게 됐다.
특사 방북에서는 ▲핵문제와 제네바 핵협정 준수사항 이행 ▲탄도 미사일을 포함한 미사일 개발 및 수출문제 ▲한반도 재래식 군사력 균형 ▲인권 현안 및 인도적 지원 문제 ▲양측간 신뢰구축과 관계개선 문제 등을 집중 협의할 것으로 알려졌다.
켈리 일행은 평양을 방문한 뒤 곧바로 서울과 도쿄를 방문해 방북 결과를 한국 및 일본 정부에 설명할 예정이다.
이에 앞서 부시 대통령은 지난 25일 김대중 대통령에게 전화를 걸어 "조속한 시일 내에 고위급 특사를 북한에 파견할 계획"이라고 밝혔으며, 백악관은 부시의 그 같은 입장 표명 하룻만인 이날 특사의 방북을 발표함으로써 남북대화와 북일 정상 회동으로 촉발된 한반도 대화기류가 급진전될 전망이다.
이로써 미국은 지난 7월 2일 서해교전으로 당초 같은 달 10일로 예정됐던 특사의 평양 방문을 공식 철회했었다. 그 후 미국과 북한은7월 말 브루나이 아세안 지역안보포럼에서 파월 국무장관과 백남순 북한 외무상간 비공식 접촉을 통해 특사 방북 재추진에 의견을 함께 했었으며, 지난 23일과 24일 뉴욕에서 미국 특사 방북 재추진을 위한 실무회담을 한데 이어 후속 접촉을 통해 구체적 시기와 일정 절차 등을 협의해 왔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