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국감초점=산자위-한국수력원자력

한국전력에서 분리된 한국수력원자력(주)에 대한 산자위 국감에서는 원자력발전소의 안전성 문제가 집중적으로 제기됐다.한나라당 임인배 의원은 경북 월성원전 1호기 지반에 침하현상이 발생, 활성단층에 대한 역학조사가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임 의원은 "1호기 지반이 한쪽으로 7.5㎜ 기울어지는'부등(不等)침하'현상이 일어났다"며 "한수원측이 80년대 중반 이후에는 진행이 없어 문제가 되지않는다고 밝히고 있지만 1호기의 하부지반이 활성단층이어서 위험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임 의원은 "한국형 표준원자로인 울진원전에서 99년과 2000년 각각 2건이던 고장정지가 지난 해에는 6건으로 크게 증가했다"며 "관리상의 문제인지 한국표준형 원자로의 설계와 시공상의 문제인지 총체적인 원인규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같은 당 백승홍 의원은 "한수원의 전신인 한전과 원자력문화재단이 90년부터 지출한 홍보사업비가 4천136억원이며 이 중 주민설득에만 345억원을 썼다는 것은 납득이 되지않는다"고 주장했다. 백 의원은 "발전소주변지역 지원기금을 식당과 주점 등에서 12억이나 흥청망청 썼다"고 지적했다.

김성조 의원은 한수원이 사용후 연료 처리에 불필요한 예산을 낭비하고있다고 주장했다. 김 의원은 "고준위 방사능폐기물인 사용후 연료가 1호기당 연간 5천다발이 배출되고있다"며 "월성원전 1호기의 경우 저장고가 포화되자 임시방편으로 콘크리트사일로를 만들어 야적지에 쌓아두고 있는데 이에 드는 비용은 저장시설을 미리 설치했다면 모두 불필요했던 것"이라고 말했다.

민주당 김방림 의원은 "울진 3·4호기 건설과정에서 배관파이프 등의 방사능 차폐에 쓰이는 밀폐제가 부실시공됐다"며 안전성에 의혹을 제기했다. 김 의원은 "시민단체가 문제 삼자 당시 한전이 국가공인기관에 시험을 의뢰해 안전 판정을 받았지만 안전성 검사에서 시료자체가 바꿔치기됐다는 의혹이 제기됐다"고 주장했다.

서명수기자 diderot@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