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의 정부조직을 보면 대통령직속의 대통령비서실, 경호실, 국무회의, 감사원, 국가정보원 그리고 9개 위원회, 2개 특별위원회, 1개 보장회의, 3개 자문회의 등 15개의 위원회가 있다. '지속가능발전위원회'도 그중 하나다.
지난 1992년 세계 170여개국의 정상과 정치 지도자들이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로에 모여 지구환경보전을 위한 결의를 다진 이후 이 지구촌의 당면한 문제를 슬기롭게 풀어 나가기위해 UN은 각국에 우리에게 생소한 '지속가능발전위원회'의 설치를 권고했다.
정부는 개발과 보전이 대립과 마찰이 아닌 조화와 보완의 관계로서 지속가능한 발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고 기후변화협약 등 국제환경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대통령 자문기구인 '지속가능발전위원회'를 2000년 9월 설치했다.
하지만 첨예하게 대립되는 각 부처의 이해관계와 사회단체의 합의의지 부족, 옥상옥 같은 위원회의 난립으로 인한 갈등 등으로 인해 '지속가능발전위원회'의 위상이나 활동상황이 미미한 실정이다.
이 위원회를 활성화 시키기 위해선 정부조직과 인원의 과잉 비효율을 극복하여야 할 것이다. 또 각계 각층의 의견을 진정 대표할 수 있도록 위원을 선정해야 할 뿐 아니라 정치적 영향력에서 온전히 살아 남을 수 있는 위원들이 있어야 이름 그대로 지속 가능한 발전위원회가 될 것이다. 합의제에 따르는 위원 책임분산에 대한 철저한 보완책도 필요할 것이다.
박용달(대구시 상동)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경선 일정 완주한 이철우 경북도지사, '국가 지도자급' 존재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