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포스코 민영화 2년째

포스코가 오는 4일로 민영화 만2년째를 맞는다. 지난 98년7월 우리 경제가 IMF 관리체제하에 있던 당시 정부는 '부실기업 정리를 위해 알짜배기 기업인 포스코를 외국인의 손에 넘긴다'는 일부의 비난론을 무릅쓰고 포스코 민영화 방침을 확정했다.

이후 26.7%였던 정부와 산업은행 보유지분은 단계적으로 매각됐고 2000년 10월4일 마지막으로 남아있던 산은 지분 2.24%를 자사주로 사들이면서 포스코는 공기업에서 민간기업으로 전환됐다.

포스코의 지난 2년간 성적표는 일단 합격점에 든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98년 이후 4년간 포스코의 순이익 합계치는 5조1천400억원으로 1968년 창립이후 97년까지 30년간의 순이익 총계보다 1조원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민영화 이전 141%이던 부채비율은 53. 4%로 낮아졌고, 평균 5만원대이던 주가도 10만원대를 유지하는 등 재무.자본구조도 견실해졌다.

또 신세기통신, 포스코휼스 등 철강업과 관련이 적은 일부 계열사를 매각하고 광양 미니밀공장과 중국.인도네시아.브라질 등에서 추진중이던 일부 사업의 중단 또는 포기 등 구조조정 작업을 통해 철강 본업에 대한 체질을 강화했다.

2년만에 이같은 기초를 다진 포스코는 고수익 구조 정착을 통해 현재 19조6천억원 정도인 기업가치를 오는 2006년에는 35조원으로 높이고 에너지.바이오 등 신사업 진출 가속화로 항구적인 발전을 모색한다는 전략을 추진중이다.

포스코는 그러나 지난 2년간 '주주중시 경영'과 '비용절감'이라는 민간기업으로서의 경영이념에 집착한 나머지 공기업 시절의 사명감과 포항을 중심으로한 지역사회의 선두적 구성원으로서의 역할수행은 상대적으로 등한시했다는 비난도 함께 받고 있다.

포항과 광양을 중심으로 "민영화 이후 포스코의 지역협력 사업이 상당부문 위축.축소되면서 정서적 이격이 오히려 심화된다"는 지적이 곳곳에서 제기되는 현실은 따져볼만한 대목이다.

이처럼 긍.부정론이 교차하는 가운데 포스코 고위 관계자는 "주주에게는 투자하고 싶은 기업, 고객에게는 거래하고 싶은 거래처, 직원에게는 자아실현과 보상이 주어지는 직장, 지역사회에는 기업시민으로서 역할을 다하는 동반자가 되겠다"는 말로 향후 지향점을 제시했다.

포항.박정출기자 jcpark@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