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北 이상징후 첩보보고 묵살 논란

서해교전 이전인 지난 6월13일 대북 정보를 담당하는 5679부대(부대장 한철용 소장)가 북 경비정의 이상징후를 담은 '첩보'를 상부에 보고했으나, 이 첩보보고가 묵살됐다는 주장이 제기돼 논란이 일고 있다.

한나라당 박세환 의원은 4일 국방부·합참에 대한 국회 국방위 국감 질의를 통해 "지난 6월13일 대북 통신감청 부대인 5679부대가 북한의 도발 가능성을 경고하는 정보보고서를 올렸으나, 당시 김동신 국방장관이 이를 묵살한 것은 물론 도발경고 관련 보고항목을 삭제, 전파할 것을 지시했다"고 주장했다.

박 의원에 따르면 북 경비정이 6월 11일과 13일 NLL(서해 북방한계선)을 침범하자 13일 오후 국방부·합참 정보본부(본부장 권영재 중장)에 이틀 연속 북 경비정의 NLL 침범에 대한 '부대의견'을 보고했다는 것이다.

이 부대의견은 연이은 NLL 침범의도를 첫째 북 해군의 전투검열 판정과 관련된 침범, 둘째 월드컵 및 국회의원 재보선과 관련한 한국내 긴장고조 의도 배제불가, 셋째 우리 해군 작전활동 탐지 의도 중 하나일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는 것이다.

박 의원은 당시 김 장관이 13일오후 정보본부 정형진 정보융합처장(준장)으로부터 직접 보고를 받고 "둘째와 셋째항은 삭제하고 전파하라"고 지시했고 이에따라 정보융합처장은 정보보고자에게 두 항목을 삭제, 다시 보고토록 지시했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이준 국방장관은 답변을 통해 "5679부대에서 보고했다고 주장하는 6월 13일 첩보보고는 일상적으로 전 부대를 대상으로 전파하는 것이지, 도발가능성과 관련해 상급 지휘관에게 특별보고를 위한 보고서가 아니었다"며 "보고내용에는 북한의 도발을 결정적으로 암시하는 내용은 없었다"고 밝혔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