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년에 어깨가 아프면 대놓고 오십견(五十肩)이라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다.그러나 정확히 말하면 오십견은 어깨 주위 통증과 함께 운동 장애를 동반하는 형태를 하고 있다. 50대에 잘 생긴다고 해서 오십견이라부르지만 '견관절주위염' 또는 어깨 주위의 근육이 굳는다 해서 '동결견'(凍結肩)이라고도 부른다.
오십견은 특별한 이유없이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외상을 입거나 깁스를 풀고 난 후, 또는 장기 입원 등으로 어깨 관절을 사용하지 못한 사람에게도 흔히 발생한다.
한의학에서는 이 질환을 풍(風), 한(寒), 습(濕), 담(痰)의 사기(邪氣)가 경락을 막아 어깨의 기혈(氣血)이 응체되는 바람에 발생하는 것으로 본다. 오십견의 증상은 다양하다. 팔을 올리거나 뒤로 젖힐 때 어깨 부위에 심한 통증이 온다. 손으로 뒷머리를 만지지 못하거나 팔이 뒤로 돌아가지않으며, 심하면 옷을 입거나 벗지 못한다.
초기에는 밤에 통증이 심해 잠을 제대로 이루지 못한다. 몇달 지나면 밤중 통증은 없어지고 움직일 때 통증도 조금 덜해지나 어깨가 굳어져 일정 각도 이상 움직이지 못하게 된다. 몇달이 지나면 통증은 줄고 운동장애만 남는다.
한의학적 치료에서는 침구, 한약, 한방물리요법, 테이핑요법, 운동요법 등이 사용된다. 자가요법으로는 찜질을 하거나 통증이 오지 않을 정도의 운동이 좋다. 초기에는 화농기나 열이 있는 경우가 아니면 냉찜질보다는 온찜질이 통증을 완화하는 데 효과적이다. 붉은고추를 달인 물로 찜질하면 더 좋다. 고추의 매운 성분이 몸을 따뜻하게 해 주기 때문이다.
어깨 주위 근육과 관절이 뻣뻣하게 굳어지고 아플 때는 엄나무 껍질(해동피) 차를 복용해 보자. 해동피 10~20g 정도를 물에 넣고 끓인 뒤 하루에 여러 번 나눠 마시면 된다.
어느 정도 통증이 완화됐으면 아프지 않을 정도로 자신의 팔을 여러 방향으로 움직이는 운동을 해야 한다. 건강한 쪽 손으로 의자나 책상을 잡고 앞으로 70~80°숙인 자세에서 아픈 쪽 손으로 다리미 같은 적당한 무게의 추를 잡고 서서히 앞 뒤로 흔들다가 8자 형태로 그리면서 흔든다. 통증이 나타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가능하면 크게 흔들어 점차 운동범위를 넓히며, 운동시간은 5~10분이 적당하다. 김근모(대구시한의사회 홍보위원)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 "24일 오후 9시, 한미 2+2 통상협의…초당적 협의 부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