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소비 급랭…長期 불황 서곡 아닌가

외환위기 이후 우리 경제회복의 견인차 역할을 해온 '소비'가 급격히 식어가고 있다. 158조원에 달하는 공적자금 살포와 팽창 재정, 거기다 저금리까지 가세하여 조성된 국내 소비는 세계적인 경기침체에도 아랑곳 않고 우리 경제의 선(善)순환을 이끌어 왔다. 따라서 현 시점에서 소비 냉각은 곧 성장 엔진을 잃는 것과 같은 것으로 정부의 강력하고도 세심한 대응책이 요구된다.

통계청은 14일, 6개월후의 경기·생활형편·소비지출 등에 대한 소비자들의 기대심리를 나타내는 9월중 소비자 기대지수가 103.9로 작년 12월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으며 지난 6월을 정점으로 상승세가 꺾인뒤 3개월 연속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고 밝혔다.

이는 경기전망을 어둡게 보는 소비자들이 늘어나고 있다는 증거다. 이같은 소비심리 악화는 소득계층과 연령계층에 관계없이 보편적으로 나타나고 있다고 하니 앞으로의 경기회복은 물론 현상유지도 쉽지 않음을 예고하는 것이다.

사실 소비 감퇴는 예측된 지표였다. 넘쳐나는 시중 부동자금을 흡수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고 미국·이라크 전쟁임박 등으로 인해 소비심리 회복을 기대하기는 어렵다.

이미 지난 9월 중에는 추석 특수에도 불구하고 백화점 매출 증가율이 15개월 만에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했으며 자동차와 대형가전의 판매량도 동반 하락했다. 가계대출 부실화로 카드회사 연체율도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전업카드사의 연체율은 지난 7월말 현재 6.79%로 한달만에 0.5%포인트 상승했으며 은행 겸영 카드사의 연체율은 8월말 11.08%에 이르고 있다.

따라서 정부는 이제 내수 위주의 성장에 한계가 왔음을 인식해야한다. 부동자금이사용처를 찾지 못하고 투기화돼있는 마당에 내수진작을 고집하면 '거품'으로 전락할 수밖에 없다.

가계 부실을 최소화해서 건전 소비를 육성하고, 국내 소비 에너지를 수출로 승화시켜 성장 엔진이 꺼지지 않도록 해야한다. 디플레에 신음하는 일본경제 위기의 출발은 바로 소비 위축이었다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될 것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