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핵위기를 둘러싼 미국-북한간 긴장이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대북강경론의 선두에 서 있는 도널드 럼즈펠드 미 국방장관이 17일 국방부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북한핵문제에 대한 입장을 밝혔다.
다음은 럼즈펠드 장관의 회견 요지.
-북한이 핵계획을 공개적으로 시인했다. 북한이 미국의 선제공격 대상이 아니라면 미국의 입장은 무엇인가.
▲그것은 본인에게 물을 질문이 아닌 것같다. 오히려 대통령이나 의회에 물어야할 사안으로 생각된다. 미국은 한국과 일본 등 동맹국들과 유럽연합(EU), 중국, 러시아와 협의를 통해 대처방안을 마련할 것이다.
-대량살상무기 포기를 위해 북한측에 사찰단 검증을 요구할 때가 아닌가.
▲북한은 관련핵협정을 위반하고 있다. 그들은 위반사실 자체를 부인하지 않고 있다. 그들이 핵관련 협정 4개를 모두 위반하고 있다고 밝힌 시점에 사찰단 검증을 요구하는 것이 과연 적절한 것인가.
-북한이 핵계획을 시인한뒤 주한미군의 전투태세에 어떤 변화는 없는가.
▲우리는 현재 군사력 배치나 변화에 대해서는 얘기하고 있지 않다.
-북한의 핵계획 시인을 호전적 징조로 보느냐 아니면 핵타결을 위한 좋은 신호로 간주하는가.
▲누구도 이를 좋은 신호로 보지 않을 것이다. 북한이 고농축 우라늄을 통해 추가 핵무기 개발 프로그램을 추진함으로써 4개의 핵관련 협정을 위반했다는 증거가 나왔는데 어떻게 이를 좋은 신호로 얘기할 수 있겠는가.
-북한이 핵무기를 보유하고 있다면서 '추가 핵무기'에 대해 언급했는데.
▲그렇다. 추가 핵무기에 대해 분명히 얘기했다. 미국은 지금까지 핵무기를 보유하고자 하는 북한의 야욕을 우려해왔다. 미국은 지난 1990년대 초 이후 정보분석을 통해 북한이 1개 또는 2개의 핵무기를 보유하고 있을 것으로 평가해왔다. 그같은분석은 정보당국의 평가에 의한 것이다. 그러나 본인은 북한이 소수의 핵무기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믿고 있다.
-북한 핵계획은 이제 더 이상 비밀이 아니다. 그래도 이라크가 북한보다 더 위험하다고 믿는가.
▲본인은 부시 대통령이 유엔과 미 국민에게 행한 연설기조와 의견을 같이한다. 이라크는 다른 나라와 구분되는 독보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다.
-사담 후세인과 북한 김정일의 다른 점이 무엇인가. 그들은 둘다 독재자에 이웃나라들을 위협하고 있고 핵개발 프로그램을 가지고 있으며 인권을 유린하고 있지 않은가. 왜 북한에 대해서는 이라크와 마찬가지로 체제교체 정책을 취하지 않는가.
▲본인은 이에 대해 이미 의회에서 증언한 바 있다. 이들 두 나라는 모두 국무부가 발표한 테러지원비호국가 명단에 포함돼 있다. 그러나 이들 두 나라는 그 방법에서 다양하게 다를 뿐 아니라 여러면에서 차이가 있다. 본인이 의회에서 증언한 내용을 참조하기 바란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 "24일 오후 9시, 한미 2+2 통상협의…초당적 협의 부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