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정부 장관급회담 전략-북핵 철저 규명·폐기 촉구

새롭게 불거진 북한의 핵 개발 문제가 향후 한반도 정세의 결정적 변수로 떠오른 가운데 오는 27일 멕시코의 로스카보스에서 열리는 한·미·일 3국 정상회담에 세계의 이목이 쏠리고 있다.

김대중 대통령과 조지 W 부시 미국 대통령, 고이즈미 준이치로(小泉純一郞) 일본 총리가 제 10차 아시아·태평양 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가 열리는 로스카보스에서 3국 정상회담을 갖고 북한의 핵 문제 해결을 위해 본격적인 조율에 나서기 때문이다.

임성준 청와대 외교안보수석은 19일 "3국 정상회담에선 북한의 핵 개발문제에 대한 심도있는 논의가 이뤄질 것"이라면서 "3국 정상간에 공조방안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김 대통령과 정부는 한·미·일 정상이 직접 대좌하는 '로스카보스 회담'이 향후 북핵 문제의 해결방향을 결정하는 중대고비가 될 것으로 보고 정상회담 준비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김 대통령은 지난 17일 오후 최성홍 외교통상부 장관으로부터 한·미·일정상회담 의제 및 준비상황 등에 대해 보고를 받았으며 주말인 19일 일정을 잡지 않은채 회담준비에 몰두했다.

최 장관, 임동원 대통령 외교안보통일특보, 임성준 외교안보수석 등 고위 외교당국자들도 이날 오후 3국 정상회담 사전조율을 위해 방한한 제임스켈리 미 국무부 아태 차관보를 면담, 북핵 문제 해법을 논의했다.

김 대통령과 정부는 어떤 경우든 북한의 핵 개발은 용납하지 않되 문제 해결은 대화를 통해 평화적으로 한다는 원칙을 세우고 북한에 대한 설득작업과 함께 한·미·일 공조강화에 집중하고 있다.

특히 미국이 '평화적 해결'에 무게를 두고 있고 북한도 핵 개발 계획을 시인한것 자체가 대화의 가능성을 열어둔 것으로 평가하고 '대화분위기 조성'에 주력할 방침이다.

정부는 19일 제 8차 남북장관급 회담 참석차 북한을 방문한 정세현(丁世鉉) 통일부 장관을 통해 북한측에 핵 개발 프로그램에 대한 철저한 규명과 폐기를 강도높게 촉구할 방침이다.

이와 관련, 고위 외교당국자는 "북한이 핵 개발 계획을 시인한 만큼 스스로 계획을 폐기해야 문제가 해결된다는 점을 집중적으로 설득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이와 동시에 정부는 미국 및 일본측에 대해선 우리의 이같은 대북 설득노력을 상세히 소개하면서 한·미·일 3국이 확고한 공조를 바탕으로 '대화를 통한 평화적 해결' 방안을 지향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할 계획이다.

김 대통령과 정부의 이같은 노력으로 미뤄볼 때 한·미·일 정상은 '로스카보스회담'에서 대화를 통해 평화적으로 해결한다는 원칙에 합의하고 북한에 대해 핵 개발 계획 포기와 즉각적인 대화 수용을 촉구하게 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예상된다.

외교당국자는 "3국 정상들은 진지한 논의를 통해 공동대응 방안에 대한 합의점을 찾게 될 것"이라면서 "이후 3국은 후속논의를 통해 대책을 구체화시켜 나갈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다만 3국이 북한 핵 문제에 대해 공통의 이해관계와 인식에도 불구, 다소의 시각차를 보이고 있기 때문에 3국 정상은 회담에서 공동성명을 채택하기 보단 합의사항과 입장을 언론에 발표하는 형식을 취할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