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경기의 바로미터인 수출이 대구에선 해를 거듭할수록 줄어들고, 경북에서는 증가하는 등 두 지역간 수출불균형이 심화되고 있다. 이로 인해 무역수지 흑자폭도 대구서는 해마다 줄고, 경북에서는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무역협회 대구.경북지부에 따르면 지난 9월중 대구의 수출액은 1억9천900만달러로 작년 같은기간(2억400만달러)에 비해 2.6% 줄어든 반면 경북의 경우는 작년 12억4천만달러에서 올해 16만4천200만달러로 32.5% 증가했다.
또 1~9월중 대구의 수출액은 18억8천100만달러로 작년 같은기간(18억5천만달러)보다 1.7% 증가했지만 수입(9억4천400만달러→10억1천500만달러)이 7.5% 늘어나는 바람에 무역수지(9억600만달러→8억6천600만달러)는 되레 나빠졌다.
하지만 경북의 경우는 작년 105억6천만달러에서 올들어선 126억1천300만달러로 19.4%나 증가, 무역수지 흑자액(15억6천700만달러→25억8천500만달러)은 무려 64%나 신장한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 1995년 이후 연도별 수출증감추이를 보면 대구(21.1% 증가)의 경우 1997년 0.5% 증가, 1998년 13.3% 감소, 2000년 8.4% 감소, 2001년 14.6% 감소 등으로 매년 감소폭이 커지고 있는 반면 경북에서는 외환위기 때인 1998년(2.2%)과 작년(8.7%)에만 감소했다.
이처럼 대구지역 수출경기가 날로 악화되고 있는 것은 수출액의 45.7%를 차지하고 있는 직물을 비롯 수송기계류.안경류.섬유제품 등 10대 수출상품군에 드는 품목들이 대외 경쟁력을 잃으면서 해외시장에서 고전을 면치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반면 경북에서는 10대 수출품목중 철강제품만 수출액이 줄어드는 추세에 있는 반면 전체 수출액의 50% 이상을 차지하는 산업용전자 등 전자부품, 기계류 등에서 꾸준히 증가하면서 수출호조세가 뚜렷해지고 있다.
이같은 추세를 반영하듯 대구지역 수출기업 증가세도 지난 1998년(36.4%)을 고비로 1999년 34.0%, 2000년 33.1%, 2001년 24.7%, 올들어 현재까지 21.3% 등으로 갈수록 둔화되고 있고 경북에서는 1998년(34.4% 증가) 이후부터 올들어 현재(20.9% 증가)까지 꾸준한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다.
황재성기자 jsgold@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 "24일 오후 9시, 한미 2+2 통상협의…초당적 협의 부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