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수경기를 주도하던 서비스업 생산증가율이 두달 연속 하락하면서 11개월만에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하는 등 내수위주의 경기부양책이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통계청이 8일 발표한 '9월중 서비스업 활동동향'에 따르면 서비스업 생산활동 증가율(부가가치기준)은 전년 같은달 대비 6.2%를 기록했다.
이같은 증가율은 지난해 10월 5.7% 이후 가장 낮은 것으로 최근 악화가 지속되고 있는 소비자기대지수와 더불어 내수.서비스 위주의 경기부양책이 한계에 봉착할 가능성을 시사하는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특히 도.소매업종과 금융.보험업의 부진이 두드러져 전년 같은달 대비 증가율이 각각 2.5%, 4.6%로 앞달의 5.1%, 10.7%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다.
이중 도매업 증가율은 0.9%에 불과, 전월의 3분의 1수준으로 떨어졌고 특별소비세 경감으로 초활황을 보이던 자동차 판매업은 전달에 31.3%까지 치솟았으나 9월에는 1% 감소로 돌아서 한달만에 가장 큰 업황변동을 나타냈다.
금융.보험업의 경우 금융부문은 높은 증가세(13.9%)를 보인 반면 증권거래와 보험.연금관련 서비스 부문은 감소(6.8%), 전체 증가율 하락을 기록했다.
또 매월 두자릿수 증가율을 보이던 보건의료산업도 증가율이 8.2%로 둔화됐고 교육서비스업도 7.6%에서 5.8%로 낮아졌다.
이와함께 운수.창고.통신업종(10.4%), 숙박 및 음식점업종(5.7%)과 부동산업(8.4%)이 호조를 보였고 영화.방송.체육 등 오락문화산업(13.3%)은 소폭 하락했으나 활황기조를 유지했다.
이상곤기자 leesk@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포항 찾은 한동훈 "박정희 때처럼 과학개발 100개년 계획 세울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