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기반사회'로 일컬어지는 21세기에는 엘리트 집단의 중요성이 그 어느 때보다도 부각되고 있다. 나라마다 이 같은 인식이 확대되는 현상은 갈수록 치열해지는 국가 간의 경쟁에서 얼마나 우수한 엘리트 집단을 보유하고 있느냐에 따라 우열이 판가름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첨단지식과 정보 혁신, 문화 역량 등은 각 분야의 엘리트들이 주도하는 건 두말할 나위가 없다. 인류의 발전은 '신이 내려준 극소수의 인재로서 창조력을 가지고 태어난' 영재(英才)들이 능력을 십분 발휘할 때 이뤄졌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뛰어난 재능을 가진 영재들을 일찍부터 발굴해 적절한 방법으로 교육해야만 성과를 거둘 수 있다는 사실은 여러 연구에서도 밝혀진 바 있다. 선진국들이 전략적으로 영재의 조기 발굴과 교육에 나서는 것도 이 때문이다. 우리도 끊임없이 사교육 시장만 확대되는 남다른 교육 풍토에서 '또 하나의 사교육 시장만 추가하는 게 아니냐'는 우려 속에서도 그 청사진을 다시 보완해 고무적이다.
▲정부가 25일 마련한 '영재교육진흥 종합계획'은 현재 초중고생 1만명(0.1%)인 영재 교육 대상자를 2007년까지 4만명(0.5%)으로 늘리고, 수학.과학 분야에서 예술.정보통신.발명.기악.현대무용.창작 등 다양한 분야로 확대하겠다는 게 골자다. 그러기 위해 영재교육원을 51개에서 200개 이상으로, 15개 대학의 영재교육원도 30개 대학으로 늘리며, 지역 교육청별로 1곳씩 세우겠다는 구상이다. 대학의 특별전형 다양화 등으로 진학 기회도 늘릴 움직임이다.
▲그러나 3월부터 시행 중인 영재교육진흥법이 관련 프로그램.교사.판별도구 부족 등으로 아직 제자리를 잡지 못하고 있는 형편이어서 논란이 예상된다. 이번 계획은 그동안 걸음마 수준인 영재 교육을 체계화하기 위한 청사진 마련이라는 의미를 갖지만, 지금과 같은 상태에서 대상자를 늘리면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예산만 낭비할 수 있다는 지적도 만만치 않기 때문이다. 더구나 이미 수업 내용에 실망한 영재들의 '중도 하차'가 적지 않은 실정이라 하지 않는가.
▲영재 교육 대상자 확대의 가장 큰 걸림돌은 행정적.재정적 지원의 미흡이다. 지금도 그 기반이 부실한 데다 전문 교사들이 턱없이 부족하다. 교수.학습 자료도 한국교육개발원이 개발한 42종이 전부이며, 교육 지원비도 열악하다. 영재 교육은 철저한 준비와 치밀한 관리를 요구하므로 국가적인 시스템 구축에 투자하고, 통계 숫자보다는 내실을 다지는 자세로 치밀하고 일관성 있는 실천 계획을 마련해야 한다. 그렇지 못할 경우 본질은 되레 곁가지가 되고 사교육 시장만 추가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태수 논설위원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