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지역 축제 特性化로 재정비를

전국에서 해마다 1천여개의 크고 작은 지역 축제가 열리지만 대부분 주민 참여율이 낮은 관 주도 행사로 전락하거나 효율성이 떨어지고, 전통문화의 단순 소개 수준에 그쳐 문제점이 적지 않다. 더구나 주민들이 한데 어울리는 진정한 잔치가 되지 못하고, 고유의 정체성 찾기는커녕 대개 비슷한 내용과 방식으로 운영돼 과연 지속할 필요가 있느냐는 의문을 떨칠 수 없게 한다.

문화개혁시민연대가 26일 마련한 '2002 지역 축제 평가와 활성화 방안 토론회'에서는 심지어 '축제의 명칭과는 상관도 없는 선심성 지역 잔치로 행사비만 낭비하고 있다'는 비판까지 나왔다. 주최측이 일방적으로 마련한 프로그램에 주민이 그냥 참여하는 것은 의미가 없으므로, 기획 단계에서부터 주민이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문화예술축제의 경우 다른 축제보다 내용과 운영 면에서 비교적 우수한 춘천 마임축제는 지역 특색과 거리가 멀고, 전통성에 초점을 맞춘 안동 국제탈춤페스티벌과 영동 국악축제도 주제를 뚜렷하게 부각시키지 못한 것으로 지적됐다. 강진 청자문화제, 남원 춘향제, 영암왕인문화축제 등의 전통문화축제들도 단순 소개와 상품화로 지역 특성과 축제의 주제를 명확하게 연결시키지 못했다는 비판을 받았다.

지방자치제 이후 지자체마다 경쟁적으로 치밀한 사전 준비 없이 무분별하게 마련한 결과 천편일률적인 축제, 자치단체장이 얼굴 알리기를의식한 관 주도 축제, 주제와 관련이 없는 내용이 삽입된 급조 축제 등이 '홍수'를 이루고 있다 해도 과언이 아닌 셈이다.

이 같은 폐단 때문에 통·폐합할 움직임을 보이는 곳도 없지 않으나 차제에 공동체의 건강한 놀이판으로 기쁨과 활력을 공유함으로써 얻어지는 문화적 생산성을 이끌어낼 수 있는 방향으로 지역 축제들을 재정비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바람직한 지역 축제는 지역 문화와 자치, 주민의 정서가 어우러져 차별화된 문화를 만들어내고 지역 경제 활성화에도 한몫을 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