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NGO(비정부기구) 중 유일하게 대구에 본부를 둔 국제앰네스티 한국지부가 올해로 창립 30주년을 맞았다. 앰네스티 지부 역시 여느 국제 NGO 처럼 1972년 3월28일 서울에서 창립됐으나 굴곡의 시대를 지낸 뒤 1991년 대구에 보금자리를 마련했다.
많은 회원들이 시국사건에 연루되는 바람에 1980년 광주 민주화운동 발생 직전 사무실이 폐쇄됐고, 그 이듬해 2월 재창설됐다가 1985년 또 해체 절차를 밟은 것.
그 후 소그룹 활동으로 명맥을 유지하다 1991년 11월 연락 사무실이 대구에 자리 잡은 뒤 1993년 3월 국제집행위에 의해 재인준 받으면서 대구 시대를 열었다.
공평동 우원빌딩 7층에 있는 20여평 사무실은 인권 개선 선봉장 역할을 자임한 오완호 사무국장 등 4명이 지키고 있다. 양심수 석방, 고문 종식, 사형제도 폐지 등이 행동의 목표. 대구.서울.광주.대전.구미.강릉 등 전국의 2천400여명 회원들이 활동을 뒷받침한다. 현재 지부장은 고은태 중부대 교수.
지난 9월까지 이주노동자 국제협약 비준 운동을 펴 온 앰네스티는 요즘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사형제도 폐지 운동에 주력하고 있다. 그 중 하나는 작년 10월 국회의원 155명이 발의해 국회 법사위에 계류 중인 사형제도 폐지 법안을 본회의에 국회의장이 직권으로 상정토록 하는 것.
또 정권 교체 후 사형 집행이 이뤄질 경우에 대비해 2천여명의 서명을 받아 총 56명인 사형수의 무기 감형 청원서를 곧 김대중 대통령에게 제출할 계획이다.
지난달 1일엔 사형선고 후 6개월 이내 형 집행을 규정한 형사소송법을 '형 확정 10년 이후 집행'으로 개정토록 하기 위해 국회의원 30명의 서명을 받아국회에 제출했다. 이제 곧 사형제도 등 국내 인권 전반에 대한 질의서도 대선 후보들에게 보낼 계획.
한국본부는 이와 함께 국제형사재판소 설립을 위한 로마 규정을 비준 않고 있는 미국의 부당성을 알리기 위한 서명을 온라인(www.amnesty.or.kr)으로 받고 있다.
한국 등 이미 비준한 나라에게 미국인에 대한 불처벌 협정 체결을 요구하는 것은 잘못됐다는 것. 한국지부는 다른 10여개 국내 인권단체들과 함께 오는 30일부터 1박2일 일정으로 '전국 인권활동가 대회'도 열기로 했다.
국내 인권 전문가들이 처음으로 한자리에 모이는 이 행사는 10년 연대 결과물인 국가인권위원회 발족 후 다소 느슨해진 인권단체들의 연대를 강화하고 역할을 재정립하기 위한 것. 150여명의 인권 활동가들이 참가할 예정이다.
이경달기자 sarang@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