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대는 사회생활의 황혼기이다. 돈을 벌 시간은 많이 남지 않았는데 자녀 교육·결혼, 본인 노후자금 준비 등 돈 들어갈 곳은 아직 많다. 노후 준비를 미룰 수 없는 50대는 그 어느 때보다 지혜로운 재테크가 필요한 시기이다.
▨50세 중소기업 간부의 노후 준비
대구지역 모 중소기업 간부인 박용기(50·가명·대구시 달서구 용산동)씨. 대구의 모 사립대학교에 다니는 딸과 고교생 아들을 두고있으며 43평형 아파트와 현금 6천만원이 자산의 전부다.
박씨의 연봉은 4천800만원인데 자녀 학비를 포함해 월 생활비로 300만원 정도를 쓰고 나머지 100만원씩 저축하고 있다. 10년후 퇴직하면1억3천만원의 퇴직금이 생기지만 구체적인 노후 준비를 세우지 못한데다 재테크에도 자신이 없어 늘 찜찜하다.
몇년전 직·간접 투자하다 2천여만원을 날린 이후 주식 쪽으로는 아예 눈길도 주지 않고 있다. 그러던중 박씨는 아는 사람의 소개로 대구지역 모 금융회사 재테크 전문가의 상담을 받고 다음과 같은 포트폴리오를 짰다.
먼저 박씨는 연금신탁부터 가입했다. 퇴직금과 국민연금으로 충분치 않은 노후생활 자금을 개인 연금신탁을 통해 보완하자는 것. 매월100만원씩 불입하는 10년만기 상품이다.
만기 때까지 박씨가 불입하는 돈은 1억2천만원. 실적배당형 상품인 연금신탁은 수익률에 변동이 있지만 연 5%라고 가정했을 때 적립만기금액은 1억5천600만원이다. 만기후 61세부터 20년 동안 박씨는 월 102만원 정도를 연금식으로 탈 수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박씨는 근로소득자이기에연금신탁에 가입함으로써 가입기간 동안 매년 240만원 정도의 소득공제 혜택도 받게 된다.
▨절세 상품을 최대한 활용
현금 6천만원은 수익률보다 안전성 위주로 운용하기로 했다. 박씨는 1년제 정기예금에 본인과 부인 명의로 각각 4천만원, 1천만원을 들었다. 1년제 이상 상품의 경우 금리가 연 4.9%이며 가산금리를 주는 곳도 있다. 정기예금에는 세금우대 혜택도 있는데 세금우대가 없는 동일 금리 다른 상품보다 실질 이자율이 0.3% 정도 높다.
비상시에 대비해 박씨는 나머지 1천만원은 1개월 짜리 정기예금에 가입했다. 금리는 연4%대. 수시입출식인 단기금융상품인 MMDA(은행권)나 MMF(투신권)도 고려 대상이었지만 금리 조건이 유리한 1개월 정기예금을 선택했다.
노후 대비 자금 운용에 대해 대구은행 지산지점 VIP클럽 유영문 실장은 "고수익보다는 원금 보장이 더 중요하므로 안정성에 최우선을 두고 자금을 운용하는 것이 좋다"며 "요즘같은 저금리 시대에는 절세 상품을 최대한 많이 이용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씀씀이 줄이고 자산은 안전하게
직장생활을 정리하고 퇴직을 하게 되면 보통 1억원에서 3억~4억원 정도의 퇴직금을 받게 된다. 그러나 요즘같은 저금리 시대에는 퇴직금을 금융회사에 맡겨 놓더라도 이자만으로 생활하기가 벅찰 수도 있다. 퇴직을 했거나 퇴직을 앞두고 있다면 우선은 씀씀이부터 줄이고 자산을 안전하게 운용해야 한다. 우선 퇴직 전의 약 60, 70% 수준으로 생활규모를 줄일 필요가 있다.
창업이나 주식투자에 현혹될 수 있겠지만 평생 직장생활의 보답으로 받은 퇴직금을 한순간에 날려 버리면 재기의 기회조차 상실하게 된다. 더구나 지금은 자산디플레라고 해서 부동산의 가치가 하락할 수도 있는 상황임을 염두에 둬야 한다. 당분간은 안전한 금융기관에 자산을 맡기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전문가들은 권하고 있다.
▨은퇴기에 점검 사항
99년 인구통계상 한국인들의 평균 수명은 남자 71.7세, 여자 79.2세다. 20, 30년간의 노후기간을 보내야 한다는 이야기다. 그러나 보건사회연구원조사 결과에 따르면 한국인 가운데 47%는 노후준비가 전혀 돼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은퇴 생활을 훌륭하게 보내고 원활한 인간관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재무적인 준비가 중요하다. 특히 생활 자금의 균형배분과 증여·상속에 관한 재무관리가 절실하다.
은퇴기의 재무 관리에 대해 삼성생명 라이프테크 대구브랜치 이운규 매니저는 "안정성과 유동성, 절세, 증여·상속이 복합적으로 고려되는 재테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은퇴기 또는 은퇴기를 앞둔 시점에서 점검해야 할 사항들로 △생활양식과 은퇴생활자금 마련·관리 △부동산의처분 또는 유지 여부 △상속 및 본인 사망시 유가족 생계 고려 △적정한 의료서비스 확보 △유언장 작성 여부 등을 꼽았다.
김해용기자 kimhy@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홍준표 대선 출마하나 "트럼프 상대 할 사람 나밖에 없다"
나경원 "'계엄해제 표결 불참'은 민주당 지지자들 탓…국회 포위했다"
홍준표, 尹에게 朴처럼 된다 이미 경고…"대구시장 그만두고 돕겠다"
언론이 감춘 진실…수상한 헌재 Vs. 민주당 국헌문란 [석민의News픽]
"한동훈 사살" 제보 받았다던 김어준…결국 경찰 고발 당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