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완 정부가 1973년 수도 타이베이에서 100㎞나 떨어진 신주지역에 ITRI(산업기술연구원)를 설립한 것은 이미 당시 이공계 분야에서 국내 최고수준을 자랑하던 칭화대학과 지아오통대학이 신주에 있었다는 것이 중요한 원인 중 하나다.
칭화대학과 지아오통대학에서 배출되는 우수한 인력을 연구원으로 확보할 수 있는 데다 대학과의 협력시스템은 ITRI의 R&D(연구개발) 기능을 크게 강화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1980년 타이완 정부가 고부가가치 첨단산업 위주로 경제구조를 바꾸기 위해 과학단지 조성 계획을 수립하면서 또다시 신주를 선택한 중요한 이유 중 하나가 ITRI인 점을 감안하면 신주지역의 칭화대학과 지아오통대학은 오늘날 신주과학단지 '신화'의 모태가 되는 셈이다.
국민당 정부가 타이완으로 건너온 뒤 각각 1956년과 1958년에 세워진 칭화대학과 지아오통대학은 과학기술분야에 특화된 연구중심 대학이다.
지아오통대학의 경우 전체 1만1천여명의 재학생 중 50%가 대학원생(박사 15%, 석사 35%)이며, 2002년 한 해 동안 800여개 프로젝트를 수행해 400억원의 수익을 올렸다.
또 지아오통대학의 2000년 IEEE 저널 및 매거진 발표 논문건수는 103건을 기록, 미국 MIT(70건), UCLA(64건), UC버클리(46건)를 앞섰다.
핵과학연구원으로 첫 출발한 칭화대학 역시 노벨 물리학상(2명)과 노벨 화학상(1명), 울프상(Wolff Prize: 1명) 수상자를 배출해 낸 명문이다.
칭화대학과 지아오통대학은 정부와 ITRI, 기업과의 산·학·연 연계 연구개발 이외에도 매년 2만명이 넘는 신주과학단지 입주기업 직원들을 대상으로 각종 재교육을 실시, 새로운 '지식'의 생산 및 공급처로서 신주과학단지 메커니즘의 중요한 한 축을 차지하고 있다.
린 따 웨이 지아오통대학 교수는 "1980년대 중반 이후 인문사회과학대학, 예술대학, 과학기술법연구소 등을 잇따라 설립, 지식경제 시대를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전인적인 과학기술인력 양성에 주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석민기자 sukmin@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 "24일 오후 9시, 한미 2+2 통상협의…초당적 협의 부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