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5MW 원자로 재가동 가능성

북한이 지난달 29일 시사한 것처럼 핵확산금지조약(NPT)을 탈퇴함에 따라 다음 조치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북한은 지난달 12일 '핵동결 해제' 선언 이후 밟아온 순서를 고려할 때 잠시 국제사회의 반응을 지켜보다 평북 영변의 5㎿ 원자로 재가동에 들어가거나 핵무기 원료인 플루토늄을 추출할 수 있는 재처리시설인 방사화학실험실 가동에 들어갈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인다.

북한은 '핵동결 해제' 선언 이후 지난달 21일 5㎿ 원자로의 봉인을 제거하고 감시카메라를 무력화시킨 데 이어 사용 후 연료봉 저장시설(22일)과 재처리시설인 방사화학실험실(23일)의 봉인을 제거하고 감시카메라를 무력화시켰다.

북한은 이어 지난달 25일부터 저장 창고에 있는 새 핵연료봉을 5㎿ 원자로로 옮기기 시작한 것으로 관측됐다.

또 지난달 27일에는 리제선 원자력총국장이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무총장에게 서한을 보내 IAEA 사찰관을 내보내기로 했으며 방사화학실험실 가동 준비가 곧 완료된다고 통보했고 29일에는 급기야 NPT 탈퇴를 시사했다.

미국 등은 북한의 5㎿ 원자로 재가동에 대해서도 부정적이지만 이보다는 방사화학실험실 가동을 금지선(red line)으로 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정부 당국자도 10일 "북한의 다음 조치는 (평북 영변에 있는) 5㎿ 원자로 재가동부터 시작될 것"이라며 "재처리시설을 가동할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위험조치는 무엇이냐"는 질문에 "재처리시설 가동"이라고 대답했다.

물론 북한은 지난달 27일 방사화학실험실 가동 준비가 곧 완료된다고 밝힐 때 이는 5㎿ 원자로에서 나오는 사용 후 연료봉을 보관하기 위해서라고 주장했지만 이를 곧이곧대로 믿기는 쉽지 않다.

왜냐면 고순도 플루토늄을 추출할 수 있는 사용 후 연료봉 8천여 개를 갖고 있는 북한이 봉인과 감시카메라, 사찰관 등 IAEA 감시 장치를 모두 제거한 데 이어 NPT 마저 탈퇴하고나서 재처리시설을 가동할 경우 이를 핵무기 개발과 관련 없는 일로보기는 힘들기 때문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