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혁과 통합」을 표방한 노무현 대통령의 「참여정부』가 25일 출범했다. 노 신임 대통령은 이날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의사당 광장에서 김대중, 김영삼, 노태우, 전두환, 최규하 전 대통령과 3부 요인, 외국 경축사절 등 4만5천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취임식을 갖고 제16대 대통령으로서 공식 집무에 들어갔다.
노 대통령은 이날 「평화와 번영과 도약의 시대로」라는 제목의 취임사에서 『개혁은 성장의 동력이고 통합은 도약의 디딤돌』이라면서 『개혁과 통합을 바탕으로 한 국민과 함께하는 민주주의, 더불어 사는 균형발전사회, 평화와 번영의 동북아시대』를 3대 국정 목표로 제시했다.
노 대통령은 이같은 국정목표를 위해 『원칙과 신뢰, 공정과 투명, 대화와 타협, 분권과 자율을 새 정부 국정운영의 좌표로 삼겠다』고 밝혔다.
노 대통령은 이와 함께 △부정부패 척결을 위한 구조적 제도적 대안 마련 △지방분권과 국가균형발전 △탕평인사 등 지역구도 완화 △소득 및 계층간 격차 해소를 위한 교육과 세제 개선 등을 구체적인 추진과제로 제시했다.
노 대통령은 또 새 정부의 대북정책을 「평화번영정책」으로 명명하고 이를 추진하기 위한 원칙으로 △대화를 통한 해결 △상호신뢰와 호혜 △당사자 중심의 국제협력 △투명성 제고와 국민참여 확대 등을 제시했다.
노 대통령은 『북한의 핵개발은 용인될 수 없다』면서 『북한은 핵무기를 보유할 것인지, 체제안전과 경제지원을 약속받을 것인지 선택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노 대통령은 그러나 『북핵 문제는 대화를 통해 평화적으로 해결되어야 하며 어떤 형태로든 군사적 긴장이 고조되어서는 안된다』면서 『이를 위해 미국.일본과의 공조를 강화하고 중국, 러시아, 유럽연합과도 긴밀하게 협력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앞서 노 대통령은 부인 권양숙 여사와 함께 국립현충원을 참배했다.
노 대통령은 취임식이 끝난 뒤 청와대에 들어가 총리 임명동의서에 서명하는 것을 시작으로 공식업무에 들어갔으며 이어 청와대 비서실장 등 수석급 비서관과 보좌관에게 임명장을 수여했다.
이어 고이즈미 준이치로(小泉純一郞) 일본총리와 정상회담을 가진데 이어 콜린 파월 미 국무장관, 첸지첸(錢其琛) 중국 부총리, 세르게이 미로노프 러시아연방상원의장 등을 접견했다.
정경훈기자 jgh0316@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