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가이자 영화감독인 이창동(49)씨의 '참여 정부' 첫 문화관광부 장관 임명은 '40대 장관'에 '문화예술전문인'이라는 점에서 파격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특히 그동안 대내외적인 정부의 문화정책을 강도높게 비판해온 터라 이번 선임이 '문화계 개혁'의 신호탄으로 읽혀지고 있다.
이 장관은 문화계 내에서도 '지략가'로 알려져 있는 인물. 지난 대선 당시 노무현 후보와 긴 만남을 가져 화제가 되기도 했다.
문화계에서는 "문화 분야에 있어 노 대통령을 설득할 수 있는 거의 유일한 인물"이라고까지 말하고 있다.
그래서 문화계에서는 '문화예술 전문인의 장관 선임'이라는 숙원을 풀었다며 환영하는 분위기다.
권정호 대구예총회장은 "문화예술인들의 어려움을 가장 잘 이해하고 있는 인물이 장관에 발탁됐다는 점에서 고무적이다"며 "행정적인 측면에서 어려움도 있겠지만, 문화예술인들을 적극 지원하는 문화정책이 나왔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균옥 민족예술인총연합(민예총) 대구지회장은 "문화 현장의 갈증을 잘 알고 있는 문화 예술 전문인이라는 점이 가장 큰 강점"이라며 "21세기 새로운 문화 환경을 만드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승용차를 직접 몰고 출근하거나, 넥타이에 갑갑해 하면서 "문화는 격식의 문제가 아니다"라고 했듯 "문화를 오롯이 문화로 볼 수 있게 하는 정책이 나올 것"이라고 기대했다.
박해수 대구문인협회장은 "문화란 지역에서 시작되는 만큼 서울 중심에서 벗어나 지역의 문화 발전을 위한 정책들이 기대된다"고 말했다.
화가 김서규(40)씨는 "지금까지 문화정책이 겉돈 것은 문화관광부 장관에 제대로 된 전문가가 기용된 적이 없기 때문"이라며 "예술계에 종사하는 사람들과 지역 문화계에 긍정적이고 실질적인 정책이 많이 나올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조계종 총무원 설웅 문화부장은 "우선 취임을 축하하며 한국 문화가 한국인의 가슴 속에 더 아름답게 뿌리 내리고 세계인도 함께 공유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환영의 분위기 속에서 우려의 목소리도 있다.
행정적인 경험이 없다는 점이다.
박해수 대구문인협회장은 "장관은 자신의 자유스러움과 개방적인 측면과 달리 행정관료적인 특성도 무시할 수 없다"며 "이를 보완하고 조화를 이뤄내는데도 신경을 써야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중기기자 filmtong@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포항 찾은 한동훈 "박정희 때처럼 과학개발 100개년 계획 세울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