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참사 수사 '중앙'서 접수

대구지하철 참사 수습 및 수사 주체가 대구시, 대구지검, 대구지방경찰청에서 중앙정부 및 중앙부처로 변경됐다.

이는 이번 사태 수습과정에서 대구시가 사실상 중앙정부의 '무능' 판정을 받은 것으로 향후 대구시는 사태 수습 전면에 나선 중앙부처의 지원을 하는 것으로 역할이 크게 축소될 수밖에 없게 됐다.

정부는 1일 행자부 김중량 소청심사위원장을 단장으로 한 중앙정부 특별지원단을 대구에 파견했다.

지원단에는 행자부 조기현 이사관, 보건복지부 박수천 부이사관, 건교부 이영식 부이사관, 대검 양부남 검찰연구관, 경찰청 최병민 기획수사심의관 등이 포함됐다.

특별지원단의 사무실은 대구시민회관 5층에 마련됐다.

또 이에 앞서 지난 28일 수습대책본부를 방문한 김각영 검찰총장은 "사고전담반 수준이던 대구지검 관련 기구를 차장검사가 지휘하는 수사 지휘본부로 확대 하겠다"고 밝혔다.

김 총장은 또 "이번 사건을 대검 강력부장이 총지휘하고 대검 강력과장을 현장에 상주시키는 한편 수사팀도 보강할 것"이라고 밝혀 대검 주도의 사건 수사를 명확히 했다.

김 총장은 "사고 원인 규명과 수습 과정에서의 증거 조작 등 모든 문제를 철저히 수사하겠다"고 실종자가족 대책위에 약속했다.

이에 따라 대구지검은 임안식 2차장검사를 본부장으로 하고 형사5부 검사 7명과 파견 검사 등 10여명으로 구성된 지하철 참사 '수사지휘 본부'를 구성했다.

임 본부장은 "경찰의 수사과정을 매일 보고 받고 즉시 지휘하는 방법으로 수사를 신속히 진척시키겠다"며 "이에따라 수사 범위 및 대상자가 더 광범해질 수 있다"고 말했다.

이와함께 중앙재해대책본부장인 최종찬 건교부 장관은 28일 대구시민회관 합동분향소를 방문한 자리에서 3차례에 걸쳐 "대구시의 수습 불능"을 강조하고 "중앙정부가 그 기능을 대신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 장관은 "법률상으로는 대구시장이 사고 수습대책본부장을 맡지만 중앙정부 지원단이 사실상 대책본부를 이끄는 것으로 이해하면 된다"며 "실종자 가족들도 중앙정부 지원단과 수습 방안을 협의하면 된다"고 말했다.

최 장관은 "오는 4일엔 대통령 주재로 관계기관 대책회의를 열기로 돼 있다"며 중앙정부 주도의 사태 대처를 거듭 강조한뒤 실종자 가족 대책위 관계자들과 만나서는 "중앙정부 차원에서 수습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고 밝히기도 했다.

이번 사태 수습 주체의 변경과 관련 사태가 일단락되면 대구시와 관련 수사기관에 대한 문책여부가 주목된다.

강병서기자 kbs@imaeil.com

이종규기자 jongku@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