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지하철 참사 방화용의자 현재상태

28일 저녁 7시부터 대구 범어동의 한 음식점에서는 작지만 의미 있는 한 모임이 진행되고 있었다.

지방분권 국민운동본부 회원들이 이번 지하철 참사에 시민들은 과연 어떻게 대응해 나가야 할 것인지를 토론하러 모인 것.

대구사회연구소 이창용 사무국장은 "지하철 참사 후 많은 시민들이 의욕상실, 좌절감, 허탈감에 시달리고 있다.

하루 빨리 참사의 아픔을 추슬러야 한다"고 했다.

이를 위해서는 "사회 지도층의 리더십이 절실하고 필요하다면 출향인사들의 도움도 받아야 한다"고 했다.

지역사회의 합의를 이끌어 내기 위해 각계각층이 모여 문제점을 토론하고 해결점을 찾는 '집단 학습의 장'을 마련할 필요도 제기했다.

사회구성원들의 자기반성을 촉구토록 해야 한다는 진단도 있었다.

분권운동 민영창 공동집행위원장은 "지역 구성원 각자의 자기 반성이 선행돼야 하고 지역뿐 아니라 한국 사회 전체가 지하철 참사를 통해 귀중한 교훈을 얻도록 유도해야 한다"고 말했다.

자전거타기운동연합 김종석 대구본부장은 "U대회 등 대구가 사활을 걸고 추진해야 할 행사들이 산적해 있는 만큼 이번 참사를 계기로 공무원 사회의 뼈를 깎는 자기 반성을 유도해야 한다"고 했다.

붕괴된 사회 시스템을 조속히 복구해야 한다는 의견도 개진됐다.

대구경실련 김태환 자문위원장은 "무엇보다 무너진 원칙을 세우고 사회구성원 간의 깨어진 신뢰를 다시 구축토록 해야 한다.

이것이 바탕되지 않은 대책은 사상누각에 불과하다"는 견해를 피력했다.

우리사회에서는 지연.혈연.학연에 의해 부실이나 잘못이 보호되고 용인돼 오느라 참사를 대형화시켜 왔다는 것. 그래서 김 위원장은 "룰과 합리성, 시스템이 지배하는 사회를 만들어 가는 데 전략을 집중토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책임자를 반드시 처벌해야 한다는 데는 이견이 없었다.

대구경북녹색연합 이재혁 사무국장은 "대구시가 안전한 지하철 운행을 약속하는 의지를 보이도록 해야 하고 그런 목적에서 철저하게 점검, 책임자들을 반드시 문책해야 한다"고 했다.

최창희기자 cch@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