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지하철 참사 후 '안전' '방재' 관련 단체 및 연구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뜬 구름 잡는 얘기' '현실과 동떨어진 이론' 등으로 폄하되기 십상이었던 이들 단체 및 연구소의 활동에 대한 인식이 대형 참사를 계기로 달라진 것.
대구·경북지역의 대표적 안전 관련 시민단체인 '대구 경실련 시민안전센터'에는 지하철 참사 후 언론은 물론 일반 시민들로부터까지 각종 안전 관련 자문 요청이 쇄도하고 있다.
이 단체는 1995년 상인동 지하철 가스폭발 사건 뒤 결성돼 8년 가까이 꾸준한 활동을 해왔으며, 부실공사와 불량 공산품 추방을 위한 각종 감시활동을 주로 벌여왔다.
결성 초기부터 이 단체를 이끌어 온 양승대 사무국장은 "엉터리로 상수관을 묻어 지반이 내려앉은 현장을 고발하고 비 오는 날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부실 공사장을 적발해내는 등 각종 현장에 대한 감시 활동을 벌여왔다"며, "그러나 이번 지하철 참사에서도 확인됐듯이 우리 지역은 여전히 안전에 무방비"라고 말했다.
앞으로 시민들은 물론 업체 관계자들도 미처 예견하지 못하는 각종 안전 사각지대에 대한 감시활동을 강화할 방침. 건물 불법 개조, 승강기 부실 점검 적발 등도 감시 대상이다.
이밖에 대구에는 '대구시민 안전기금'이라는 안전 관련 시민단체가 있다.
전국적으로는 '안전생활실천 시민연합'이 대표적인 안전 시민단체로 꼽힌다.
안실련은 대구지하철 참사 당시 현장에 상근 직원을 파견해 조사활동을 벌였으며, 각종 미비사항을 파악해 재난 관련 주무 부서인 행정자치부에 통보했다.
민간 연구소로는 'LG환경안전연구원'이 설립돼 있고, 전국에 100여개 되는 민간 방재 전문회사도 방재 컨설팅과 설비 교체 등의 사업 규모를 매년 늘려가고 있다.
중앙정부 산하에는 교통안전공단, 가스안전공사, 시설안전기술공단, 국립방재연구소, 전기안전공사, 산업안전공단, 승강기안전관리원, 소비자보호원 안전팀 등이 활동하고 있다.
최경철기자 koala@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