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중앙로 차량통행 논란-엇갈린 주장...언제 다닐 수 있을까

대구 중앙로 자동차 통행 금지 조치가 25일로 시행 한달을 맞으면서 지하철참사 수습의 또다른 뜨거운 이슈로 떠올랐다.

일대 상인들이 '생존권 확보'를 주장하며 집단 행동에 나섰기때문이다.

◇엇갈린 입장=대구시는 중앙로역 구조물에 대한 보강 공사를 마쳤고 전문가 진단 결과 문제점이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며 통행을 재개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지하 3층 중앙기둥 28개에 가받침을 설치하는 보강 공사를 완료했으며 지난 17일에는 지하구조물의 처짐·내력 등을 측정하는 재하(在荷) 실험까지 벌여 안전에 이상 없음을 확인했다는 것.

그러나 희생자대책위는 현장훼손 시비 등으로 신뢰성을 잃은 대구시가 벌인 진단 결과를 믿을 수 없다는 입장이다.

대책위는 자신들이 선정한 업체를 통해 안전진단을 벌인 뒤 교통재개 동의 여부를 검토하겠다는 주장을 펴기도 했다.

◇어정쩡한 대구시와 경찰=대구시는 "희생자대책위가 반대하는 이상 자동차 통행을 재개시킬 수 없다"고 물러섰다.

한 관계자는 "보강 공사를 마치고 재하실험 결과 안전하다는 판정이 나면 중앙로 통행을 재개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했는데 허탈하다"며 "중앙로역 안전진단에 대한 정식 보고서가 나오는 이달 말쯤 통행 재개 여부를 대책위와 협의하겠다"고 말했다.

자동차 통행 결정 및 신호등 체계 변경권을 가진 경찰도 "대구시가 대책위의 동의서를 받아 와야 통행 재개를 결정할 것"이라고 발을 뺐다.

대구경찰청 남규덕 경비교통과장은 "대책위의 동의서를 첨부해야 할 법적 근거는 없지만 대구시가 대책위와 협의해 중앙로 교통 통제를 시작한 만큼 풀 때도 대책위의 합의가 있어야 한다는 것이 경찰의 입장"이라고 말했다.

◇갈등의 확산=통행 금지 조치가 한달째 계속되자 중앙로 및 동성로 상인들은 영업 손실이 막대하다며 통행 재개를 요구하는 집단 행동에 나섰다.

상인들은 지난 20일 158명 명의로 차량 통행 재개 등을 요구하는 진정서를 대구시·중구청·국무총리실 등에 제출한 뒤 22일에는 '상가 및 주민 수호 결의대회'를 가졌다.

또 오는 27일에는 1천500명 이상의 상인들이 참가해 대규모 집회를 열기로 24일 결정했다.

◇기술적인 문제=기술 분야의 전문가들은 안전 문제를 놓고 일부 이견을 보이고 있다.

지난 23일 중앙로 통행 재개 관련 토론회에 참가했던 인천전문대 토목과 박창화 교수는 "중앙로역 지상 도로 일부에서 2~3㎝ 깊이의 아스팔트 침하 흔적이 발견됐다"며 이것이 지난 17일의 재하 실험 때 덤프트럭 하중때문에 나타난 것일 수 있다고 주장했다.

침하 현상이 중앙로역 화재 당시 열기로 지반 수분이 증발되면서 일대 지반이 약화돼 빚어진 현상일 수 있다는 것.

그러나 재하실험에 참여했던 경북대 토목공학과 박문호 교수는 "재하 실험 이전에 이미 중앙로역 지상도로에 침하 흔적이 발견된 증거가 있다"며 "재하 실험 때의 덤프트럭 하중 때문에 지반 침하 현상이 발생했다면 중앙로역은 벌써 붕괴됐을 것"이라고 반박했다.

대구지하철건설본부 한 관계자도 "하절기 아스팔트가 연약해진 상황에서 자동차가 많이 다니면 지반이 내려가는 현상이 발생한다"며 "중앙로역 지하 3층에서 일어난 화재 열기가 지반까지 전달돼 수분이 증발했다고 보기 어렵고 도로 침하 원인을 중앙로역 구조물 손상에서 찾는 것은 무리"라고 주장했다.

김해용기자 kimhy@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